에큐메니컬, YMCA/에큐메니컬137 '지난 일을 교훈삼아', 중국 기독교사 공부 않는 후배를 걱정하며 공부하도록 책을 보내주신 윤신영 목사님. 10권의 책을 아낌없이 보내주셨다. 감사의 마음을 ~~~.보내주신 책, '지난 일을 교훈삼아'를 길잡이로 중국 기독교에 대한 스터디 입문해 보기로. 신학대와 관련한 인사들이 다수 활동하고 있는 중국 남경Y와의 교류를 준비하며 중국 기독교사와 그 역사 안에서의 남경Y의 역할도 찾아봤으면 하는 바람.. 2025. 2. 19. 故 서광선 박사 3주기 추모 모임, “참사랑은 정의” 옆에서, 앞에서 항상 인자함으로 이끌어주시고 격려해주시며 Y운동의 Keyword와 고민을 던져주셨던 고 서광선 박사님. 1주기로 함께 모여 기억을 나누고 추모의 시간을 가졌던 국경선평화학교와 고양지역 선후배 몇몇 분들이 3주기 추모모임으로 작은 공간이지만 이전한 고양YMCA에서 추모의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시끌벅적한 큰 모임은 아니지만 넉넉하고 여유로운 기억과 정을 나누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올해 추모모임 주제로 서박사님께서 말씀하셨던 '참사랑은 정의'라는 메시지를 다시 한번 기억해봤습니다.故 서광선 박사 3주기 추모 모임 기차길, 나그네길, 평화의 길“참사랑은 정의” “온 세계의 기독교인들이 우리나라의 통일을 위해서 기도하고 있습니다. 저는 잠시 왔다 가지만, 이제 곧 다시 오겠습니다. 그때는 서울에.. 2025. 2. 14. 학생기독운동(SCM, Student Christian Movement)과 기독학생운동(CSM, Christian Student Movement)의 이해 구분 학생기독운동(SCM, Student Christian Movement)과 기독학생운동(CSM, Christian Student Movement)의 이해 구분>세계교회협의회(WCC) 창립 당시의 논쟁, 즉 ‘WCC와 세계학생기독교총연맹(WSCF)와의 관계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서도 학생YMCA에 대한 관점을 확인할 수 있다. WSCF를 WCC의 학생부로 통합할 것인가, 아니면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조직으로 둘 것인가의 문제. 결국 WSCF는 WCC와의 합의로 통합되지 않았으며, 별도의 자율성을 갖는 독립 기구로 독자적인 노선을 갖게 된다. WCC는 이와 별도로 그 안에 청년부를 두게 된다. 이와 같은 신학적, 조직적 전통은 학생YMCA와 조선기독교청년회(YMCA)연합회 창립 당시에도 적용되었으며, 한국기.. 2024. 12. 15. 2011년 이지넷 (EASY Net, Ecumenical Asia-Pacific Student and Youth Network) 총회 2011년 이지넷 (EASY Net, Ecumenical Asia-Pacific Student and Youth Network, 에큐메니컬 아시아 태평양 청년 학생 연대 ) 총회 자료 ● 개 요 ● - 일시 : 2011년 4월 19일(화) 오후 3시 - 장소 : 종로 5가 기독교 회관 701호 - 참석 : 서울대교구가톨릭대학생연합회(SFCS), 한국기독청년학생연합회(한기연), 한국기독청년회(YMCA),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KSCF), 한국여자기독교청년회(YWCA) * 한국기독청년협의회(EYCK)는 단체 행사 관계로 참석하지 못합니다. - 총회 의의 : 이지넷 현황을 소개 소개하고 각 단체에서 이지넷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되도록 유기적으로 활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대화의 장이 되고자.. 2024. 12. 14. 장신대 교수평의회 시국선언문_이 선언이 우리의 기도이며, 우리의 신학이다. 2024. 12. 13. 윤영우_기독학생 사회평화봉사단 운동의 의의와 실천전략 기독학생 사회평화봉사단 운동의 의의와 실천전략 윤영우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 대학부장)1999. 5 1. 들어가는 말 새로운 천년을 눈앞에 두고 각 운동세력은 구조조정과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논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이것은 시대변화에 맞는 새로운 운동의 창출을 위한 노력일 것이다.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 또한 지난해 50주년을 맞이해 역사책을 발간하고 그동안의 운동을 성찰하고 새로운 운동을 시작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그리스도를 따르는 제자로서의 사회적 존재양식은 어떠해야하는가 ? 이 질문에 대한 응답은 각 시대별로 구체적인 표현형태는 다르게 나타났다. 때로는 봉사활동에서부터 정치투쟁으로, 그리고 민중운동의 현장으로 삶을 이전하는 것으로 소외받고 가난한자에 대한 연대의 정신으로 표현되었다. .. 2024. 12. 12. 2024 남북평화재단 학술회의 <이스라엘-가자 전쟁과 평화 만들기> 2024 남북평화재단 학술회의 1년을 넘기고 끝을 알 수 없는 이스라엘-가자 전쟁, 확전 양상까지 보이며 인류의 양심은 무너져가고 있습니다. 그 참상을 젠더, 인공지능 전투까지 다각도로 살펴보고 전쟁 범죄와 관련한 국제법적 문제까지 생각해봅니다. 그리고 북한이 이 전쟁에 취하는 입장을 살펴보며 한반도 평화에 주는 함의도 생각해봅니다. 일시: 2024. 11. 27(수) 오후 2:00-5:20 장소: 서대문 공간이제 (충정로11길 20, B1 기사연 공간이제_ 서대문역 1번, 2번 출구 사이로 100m) 📍 일시: 2024년 11월 27일(수) 14:00- 17:20 📍 장소: 서대문 공간이제 (충정로11길 20, B1 기사연 공간이제) 참여 신청: bit.ly/평화만들기 세션1 14:00-15:30 사회.. 2024. 11. 16. 고(故)조지오글(오명걸) 목사 4주기 추모예배 “지금 다시, 조지 오글“ [고(故)조지오글 목사 4주기 추모예배 “지금 다시, 조지 오글“] 조지오글(George E. Ogle)이란 이름보다 ’오명걸‘이라는 이름을 더 사랑했던 사람, 지금 다시 그의 걸음을 기억해봅니다. 민주주의 위기의 시대, 조지 오글 목사를 다시 생각하며 나아가길 소망합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 2024년 11월 15일(금), 오전 11시 ■ 장소 : 기독교대한감리회 본부교회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149 16층) ■ 공동주최 : 기독교대한감리회, 인천도시산업선교회, (사)한국기독교민주화운동, 고난받는이들과함께하는모임, 한국교회인권센터 2024. 11. 15. 팔레스타인 기독교 공동체와 WCC를 중심으로 팔레스타인 이슈에 대한 기본 이해 자료 안내 팔레스타인 현지 기독교공동체와 WCC를 중심으로 팔레스타인 이슈에 대한 기본 이해를 돕는 성명서/메시지 등과 현 가자지구와 팔레스타인 이해(참고1), 올리브트리캠페인(참고 2) 관련 자료를 링크드렸습니다. 링크 페이지에서 간단한 소개와 내용, 관련 문서, 영상 등을 참고해 보실 수 있습니다. (성명 참고). 팔레스타인 기독교 그룹 및 WCC 등의 입장 카이로스팔레스타인선언문(Kairos Palestine Document) https://yunheepathos.tistory.com/107 카이로스팔레스타인선언문(Kairos Palestine Document)진실을 말할 때가 왔다.고난 받는 팔레스타인 민족의 가슴속에서 우러나는 믿음과 소망과 사랑의 말씀을 전할 때가 왔다. 서론팔레스타인 기독교인의 모임으로.. 2024. 11. 10. 이훈삼 목사님 기장총회 총무 취임 예식 이훈삼 목사님 기장총회 총무 취임 예식.. 걷치레없는 아주 심플한 준비와 진행으로 의미있게 준비한 듯. 축하의 마음을 나누며 기장총회가 올해부터 팔레스타인 올리브트리캠페인(OTC)에도 참여하기로 결정했다는 아주 즐겁고 기운나는 소식도 나눔. 황진(기장 남신도전국연합 회장) 이사장님 등 선후배와 오랜만의 만남과 인사나눔도 또 다른 즐거움. 오랜만에 종5에 나간 김에 후배가 챙겨 준 한국기독교사회운동사 시리즈(전4권)도 취임 예식 기념품과 함께 알뜰히 챙김. 항상 챙김만 받는 듯.. 챙겨준 NCC 남기평 목사에게도 감사. 관심가는 부분만이라도 챙겨 읽어보는 것이 일일 듯. 2024. 10. 25. 14:00 기독교연합회관 아가페홀 2024. 10. 26. 이전 1 2 3 4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