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과 한반도, 평화에 이르는 길
- 힘의 평화와 하나님의 평화
이윤희 / 한국YMCA 생명평화센터
2018. 7. 1. 새길교회
1. 팔레스타인으로 향한 시선 1) 한국 역사와 기독교를 다시 생각한다. 2) “생명평화의 눈으로 성서 다시 읽기”- 정복과 패권에서 해방과 나눔으로. 3) 팔레스타인으로 향한 시선, 한반도 평화를 위한 발걸음
2.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의 역사 1) 요약 2) 2017년, 2018년. 밸푸어 선언 100년, 누구의 평화인가? 3) 팔레스타인의 현실, 누구의 눈으로 볼 것인가? 4) 누구의 눈으로 말할 것인가? 하나님의 평화
3. 팔레스타인 그리스도인들의 호소와 요청 1) 카이로스 팔레스타인 선언 2) “대안성지순례의 시작 - Come & See”
4. Come & See, 팔레스타인 이야기 1) 팔레스타인 성지순례와 홈스테이 2) 분리장벽과 검문소(Check point) 3) 팔레스타인 난민캠프 4) 파괴되는 주거 가옥 5) 사라지는 베두인(Beduoin) 학교와 마을 6) 팔레스타인 청소년들과 교육 7) 이스라엘 시민의 딜레마, 안보(security)와 민주주의(Democracy) 8) 평화를 위해 일하는 팔레스타인 그리스도인들
5. 예루살렘을 둘러싼 문제 1) 예루살렘 갈등의 역사 2) 주택 파괴 House demolitions 3) 동예루살렘 팔레스타인 주거지 Palestinian residency 4) 고립된 동예루살렘 5) 미대사관 이전
6. 마무리 - ‘불가능한 순간’에 말하는 하나님의 평화, 민에 의한 평화?
(참고자료) 팔레스타인기독교단체연합(NCCOP)이 WCC와 에큐메니칼 운동에 보내는 공개서한 |
“
3. 팔레스타인 그리스도인들의 호소와 요청
팔레스타인 기독교는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현재 웨스트 뱅크와 가자 지구에는 약 5만 명의 기독교인이 거주하고 있다. 이는 총 인구의 2.2%에 불과하다. 90년대 중반의 총인구는 2,238,000이었다. 팔레스타인 기독교의 인구분포는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충돌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이스트 예루살렘, 웨스트 뱅크, 가자 지구의 기독교는 15개 교파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에 그리스 정교회 교인이 51%이고, 로마 가톨릭 교인이 32%이다. 웨스트 뱅크와 가자 지구의 기독교인들은 1987년의 인티파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어떤 이는 순교하거나 투옥되었고, 아직도 이스라엘에 의하여 수배된 이들이 많다. 기독교 공동체는 다른 팔레스타인 사람들과 같이 이스라엘과의 관계가 상호 존중과 인권의 존엄에 기초한 새로운 관계로 재편되고 점령이 종식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기독교인과 이슬람인은 수 세기에 걸쳐서 함께 살기 때문에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1) 카이로스 팔레스타인 선언
“왜 지금인가? 왜냐하면 오늘날 팔레스타인 민족의 비극이 막다른 골목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결정권을 가진 자들은 현존하는 위기에도 불구하고 하루하루 현상을 유지하는 데 만족하고, 위기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지 않고 있다. 신실한 자들의 마음에는 고통과 의문이 가득하다. 과연 국제사회는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인가?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과 아랍 세계의 정치지도자들은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인가? 교회는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인가? 문제는 단지 정치적인 것만이 아니다. 문제는 인간들을 파괴하는 정책의 문제이다. 그러므로 교회가 이 문제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 마땅하다. 우리는 이 문제에 대해서 우리의 자매와 형제들, 곧 우리 땅에 있는 교회의 교인들에게 널리 알리려는 것이다.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서 또 팔레스타인 사람으로서 우리의 종교 지도자들과 정치 지도자들에게, 그리고 우리 팔레스타인 사회와 이스라엘 사회, 국제 사회와 세계 교회의 자매 형제들에게 호소하는 바이다.”
‘카이로스 팔레스타인 선언문’(2009년 12월 9일 발표)은 팔레스타인 기독교인들이 팔레스타인 영토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서 세계에 알리기 위한 것이다. ‘카이로스 팔레스타인 선언’의 원제는 ‘진실의 때’이다. 이것은 남아공화국 인종차별 철폐운동의 중요한 계기였던 ‘85년 카이로스 남아공선언’에 비견되어 '카이로스 팔레스타인 선언'으로 불리고 있다. 이 선언은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고통 속에서 팔레스타인에 임하는 하나님의 영광과 은혜를 구하자 하는 희망에 기초하고 있다. 팔레스타인 기독교인들은 팔레스타인 영토의 군사적인 점령이 하나님과 인간을 향한 죄악임을 고발한다. 진실한 기독교 신학은 억압당하는 이웃과 연대하는 사랑의 신학이며, 모든 사람들 사이에서 동등한 권리와 정의를 향한 외침이기에 이러한 점령을 정당화하는 어떤 기독교 신학도 기독교의 가르침이 될 수 없다고 선언하고 있다.
이 선언은 67년 신학선언, 88년 선언에 이은 세 번째 팔레스타인 선언이다. 67년 선언은 '6일 전쟁'의 참상 이후 시대적 상황에 대한 신학자들의 고백문이고, 88년 선언은 87년 '1차 봉기'의 충격과 희망에 대한 선언이다. 카이로스 팔레스타인 문서가 작성된 특별한 계기는 팔레스타인 기독교인들이 말하는 것처럼 ‘막다른 골목에 도달했다’는 인식에 기반하고 있다. 이것은 20년 이상 진행되어왔던 평화협상에도 불구하고 상황은 더 나빠졌고 평화가 없음을 인정하자는 것이고, 무장투쟁 또한 효과가 없음을 인정하자는 것이다. 이들은 제3의 대안으로 ‘믿음, 소망, 사랑’에 기초한 비폭력 평화운동으로 보이콧운동을 제안하고 있다. 문서는 팔레스타인 모든 기독교 교단이 참여해 1년 6개월에 걸쳐 작성되었으며,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선언은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유대인, 이슬람, 세계 교회, 국제 사회 등에 팔레스타인의 현실을 알리고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평화를 위한 길에 참여할 것을 호소하고 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팔레스타인의 평화를 이룸으로써 진실로 세계 평화에 참되게 기여하시기 바란다. 팔레스타인은 종교적으로 세계의 평화를 향한 길로 나아가는 중심이다. ② 만일 당신이 팔레스타인 민중들에 대해서 정치적으로 정의롭지 못한 의견을 지지하는 근본주의적인 신학적 입장을 지니고 있다면 이를 재고하시기 바란다. ③ 우리들에게 가해진 점령의 죄로 인하여 팔레스타인 백성들이 고통을 당하는 정의롭지 못한 상황을 신학적으로 정당화하는 일이 없도록 도와주시기 바란다. ④ 이스라엘을 향해서 경제적으로 보이코트하자.(2005년 7월 9일에 BDS 캠페인을 시작했다. BDS는 Boycott(보이코트), Divestment(투자 철회), Sanctions(국제적인 제재)을 뜻한다) 이러한 보이코트는 복수를 위한 것이 아니다. 경제적인 보이코트는 정의롭고 제한없는 평화를 이루기 위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이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과 아랍 영토에 대한 점령을 종식시키고 모두를 위한 평화와 참된 안보를 확보하려는 것이다.
팔레스타인 기독교인들은(National Coalition of Christian Organizations in Palestine) “이스라엘의 안보가 결코 팔레스타인 사람들에 대한 정의를 부정하는 구실이 될 수 없으며”, “이스라엘의 안전과 정의는 동전의 양면으로 이건 전쟁이 아닌 집단 처벌”이라고 호소하고 있다. 또한 그들은 ‘카이로스팔레스타인선언’을 통해 이스라엘의 차별과 억압을 정당화는 하는 신학을 제고해줄 것을 세계교회에 요청하며, 성지순례라는 이름으로 팔레스타인에 대한 편견을 강화하기보다는 팔레스타인 사람들과의 만남과 대화를 통해 그들의 문화와 현실을 이해하기 위한 대안성지순례 프로그램 ‘Come & See’와 ‘올리브트리캠페인’ 참여를 제안하고 있다. 선언문이 한국 교회에 많이 보급되고 읽히기를 간절히 바라며, 그 일부를 그대로 전제한다.
“하나님의 말씀은 하나님의 모든 피조물을 위한 사랑의 말씀이다. 하나님은 서로를 향해서 적대적으로 대하는 자들을 편들지 아니하시며, 다른 사람의 얼굴 앞에서 다른 이를 적대적으로 대하는 자들의 편도 아니시다. 하나님은 모든 이들의 주이시고, 모든 이들을 사랑하시는 분으로서 우리 모두에게 동일한 명령을 주시고 모든 이들로부터 정의를 요청하신다. 우리는 자매 교회들이, 우리에게 점령의 죄가 강요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우리가 당하는 고통을 신학적으로 무시하지 말 것을 요청한다. 오늘날 교회에 속한 자매 형제들을 향해서 제기하는 우리의 질문은 바로 이것이다. 여러분은 우리들이 자유를 되찾도록 도울 수 있지 않는가?”
2) “대안성지순례의 시작 - Come & See”
대안성지순례에 대한 고민은 한국 교회에 대한 성찰로 부터 시작되었지만, 단지 종교적 관심으로만 머물지 않는다. 대안성지순례는 성서를 다시 읽는 운동이자 한국 기독교의 신앙세계에 대한 성찰운동이지만 팔레스타인 기독교인들의 부름에 대한 응답이기도 하다. 팔레스타인 기독교인들은 ‘카이로스 팔레스타인 문서’를 통해 아랍 세계에 기독교인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해 세계 기독교인들이 함께 해주기를 요청하고 있다. 서구 주류 신학이 더 이상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에 대한 불법적인 점령을 인정하는 도구로 전락되지 말기를 요청하고 있다. 팔레스타인으로 직접 와서 볼 것을 요청하고 있다.
한국 교회 또한 수많은 사람들이 성지순례를 갔다 왔지만 팔레스타인 기독교인들의 이 같은 요청을 외면했던 것도 사실이다. 냉전시기 한국인들에게 ‘뿔난 북한 사람’들이 있었다면, 지금 서아시아 아랍 세계에 대한 한국인들의 이미지는 ‘폭탄 테러를 자행하는 위험한 테러리스트’다. 서구 언론에 비친 이미지다. 한국 교회의 성지순례가 서아시아와 한반도의 평화에 기여하기보다는 오히려 팔레스타인과 아랍 세계에 대한 편견과 오해만을 더 깊게 하고 한국 교회에 극단적인 기독교시온이즘을 전파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한국 교회의 ‘확장과 정복 중심의 신앙관’이 어디에서 기인하고 있는지 질문해야 한다. 이것이 대안성지순례의 시작점이다.
‘지금의 성지순례가 이에 대한 응답이 되고 있는가?’,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사람들의 구체적인 삶과 이야기를 만나기보다는 죽어있는 박물관을 다녀오듯 하는 것이 성지순례인가?’, ‘참여자들의 삶과 신앙에 대한 질문’이 없거나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서아시아 평화에 기여하기보다는 갈등과 편견만을 더욱 심화시킨다면 이것을 성지순례라 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 대안성지순례의 두 번째 질문이다. 나의 삶의 자리에서 성지와 성지순례가 무엇인지를 질문하는 것이다.
팔레스타인을 처음 방문했던 2009년 9월이 잊혀지지 않는다. 도착 첫날, 텔아비브 공항에서 베들레헴으로 들어가는 어두운 차 안에서 한 발의 총소리를 들었고 무슨 일일까 내내 궁금함가 불안감을 안고 아랍여성센터에서 운영하는 숙소에 도착했다. 숙소에 도착해 한 소년이 총에 맞아 죽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 소식에 안타까워하며 분노했지만 겁에 질려 숙소 문 밖을 나서지 못하고 서성였던 그 당혹감! 팔레스타인에 대해 학습하고 토론하며 어느 정도 이해를 갖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일상적인 죽음 앞에 노출되어 있는 그들의 삶을 피부로 느끼며 어찌할 바를 몰랐던 나. 당시의 나를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팔레스타인에 머무는 내내 한참이나 나를 고민하게 했던 질문이다.
이 당혹감은 9m에 달하는 분리장벽을 따라 걸으며 ‘내가 이곳에 왜 있는가?’, ‘내가 갖는 두려움과 당혹감의 실체가 무엇인가?’ 묵상하며 그 답을 찾아가기 시작한다. 사진이 아닌 두 눈으로 직접 목도하게 되는 팔레스타인의 현실에서 그들의 눈물을 만나게 되었고,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깨닫게 된다. 우리는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평화를 위해 수고하는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시민들의 단체들을 방문하여 그들의 현실과 삶, 평화에 대한 비전을 듣기 시작하였고 난민촌과 교회들을 방문하여 평화를 함께 기도하기 시작했다. 팔레스타인 가정을 방문하여 하루의 쉼을 같이하고 가족의 이야기를 들었으며, 시장과 뒷골목을 걸으며 그들과 함께 먹고 마셨다.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일상으로 겪고 있는 분리장벽과 체크포인트를 경험하며 마치 닭장 차 안에 갇혀 있는 닭처럼 3~4시간동안 꼼짝하지 못하고 있는 그들의 눈을 마주보기 시작했다. 갈릴리 바다 위에서 이 시대 예수의 음성은 어디에 있을지를 묵상했다. 팔레스타인과의 만남은 ‘팔레스타인이 한반도’이고 ‘한반도가 팔레스타인’임을 확인하고, 내 신앙의 자리가 어디이어야 하는지를 다시 생각하게 하였다.
“온 땅이 모두 하나님의 것이므로(시편 24:1)”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포함해서 그 어느 땅도 다른 땅보다 더 거룩하거나 덜 거룩하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온 우주의 하나님, 변치 않는 본성을 지니신 하나님, 즉 모든 백성들에게 공의로우시며 이 땅과 온 땅에 거하는 모든 백성들에게 선하심과 자비를 베풀기 원하시는 하나님을 신뢰하는 자들에게 땅은 거룩한 것이다.” 거룩함은 이 땅에서 의롭고 바르게 살아감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성소의 중심은 특정한 장소가 아니라 도덕적인 삶”이다.(팔레스타인 아티크 신부)
(계속)
'팔레스타인 > 팔레스타인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예루살렘을 둘러싼 문제 (0) | 2018.07.03 |
---|---|
4. Come & See, 팔레스타인 이야기 (0) | 2018.07.03 |
2.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의 역사 (0) | 2018.07.03 |
Statement on Gaza and Jerusalem, Kairos Palestine, May 15, 2018 (0) | 2018.05.17 |
팔레스타인을 위한 기도 2018.5.10. Sabeel Wave of Prayer (2) | 2018.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