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숨의 끄적거림/원고

YMCA운동의 형성 원리를 찾아서 5 - Volunteerism에 기초한 Association 운동

by yunheePathos 2014. 9. 3.

YMCA운동의 형성 원리를 찾아서

말씀은 스스로 존재한다. 

  


들어가며

1. 시대 상황(Context)으로부터 시작하는 보편적인 운동

2. 에큐메니컬 정신운동체 정신가치사회적 영성

3. 청년 운동체 변화의 꿈사람을 키우는 운동

4. Volunteerism에 기초한 Association 운동

- 시민사회를 확장하는 운동, 운동을 만드는 운동

5. 지구시민사회운동체로서 지역과 전 지구적 의제의 통합과 통섭

세상이 주는 평화가 아닌 하나님의 평화

6. 결론 삼아

 

4. Volunteerism에 기초한 Association 운동

- 시민사회를 확장하는 운동, 운동을 만드는 운동

YMCA운동의 본질적인 요소 중 하나는 Association이다. Association운동은 신분해방과 근대 민족국가 수립 과정에서 안전과 행복을 보장받지 못하던 의 협동과 연대의 자발적 결사운동이며, 자기통치운동이자 자립 운동이다. 프랑스를 비롯한 서구 유럽은 1900년대 초반 이미 이와 관련한 법률을 제정함으로써 자율적 통치 전통에 근거한 시민사회를 지지하였다. 토크빌이 볼런티어 운동과 정신에서 19세기 미국 민주주의의 힘을 찾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YMCA는 이와 같은 사상적 전통에 따라 형성된 운동이다. 이것은 앞서 말한 기독교 전통과도 맞닿아 있는 것으로 한국YMCA 조직 형성의 정신적 근간이기도 하다. ‘국가 없는 식민지 상황의 민중들은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자구적인 자치와 자립, 협력이 요구되었다. 초기 YMCA운동은 이와 같은 역사적 맥락과 상황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설립 초기 한국YMCA는 각종 근대화 교육과 스포츠를 통해 젊은이들을 불러 모았다. 20년대 조만식과 평양YMCA에 의해 추진되었던 물산장려운동, 민족기업과 민교 창립운동 과 신흥우와 홍병선 등에 의해 추진되었던 협동조합운동과 향촌Y운동 그리고 이상재의 신간회 운동은 YMCA운동의 이 같은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19193.1운동 이후 등장했던 이와 같은 국내 민족운동을 단순한 농촌계몽운동이나 민족자치운동으로만 폄하하거나 도외시해서는 안된다. 이것은 인도 간디의 물레가 식민지 지배를 인정한 자립의 상징이 아니었듯, 물산장려운동과 향촌Y 협동조합운동은 국가 없는 사회에서 자기통치의 시민사회를 확장하기 위한 운동으로 재평가되어야 한다. 국외의 무장투쟁과 국내의 Association운동, 자기 통치운동 등에 대한 통합적인 평가가 필요한 대목이다.

이와 같은 운동의 전통은 시민사회의 공론을 조직하고 시민사회를 확장하는 운동으로 YMCA운동을 특징짓게 한다. YMCA운동은 이로 인해 운동을 만드는 운동, 조직을 만드는 조직이라 불리게 된다. 그러나 해방 이후 한국YMCA는 개인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시설과 캠프 중심의 미국YMCA 프로그램들이 그대로 도입되면서 이와 같은 전통은 약화되기 시작했다. 서구 기독교, 특히 미국YMCA와 교계의 지원으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엘리트 교육 프로그램들이 활성화됨에 따라 일면 한국YMCA가 활성화되었던 측면이 있었던 것은 분명하나, 다른 한편으로는 YMCA운동의 기본 정신이라 할 의 자발적 결사와 자기 통치의 원리와 동력이 쇠퇴한 것 또한 사실이다. 이와 같은 Association의 원리와 동력이 약화된 채 주장되는 청소년운동과 지역운동이 자칫 한국YMCA운동이 현실을 외면하거나 문제의 중심에 뛰어들지 못한 채 주변부에 머물게 하는 합리화의 수단이 되지는 않았는지 경계해야한다. 미국YMCA 인디언 캠프가 한국YMCA를 통해 유행했었다는 사실은 이 같은 한국YMCA 현실을 잘 보여주는 한 단면일 것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도 시청년회를 통해 시민논단과 같은 시민사회의 공론을 조직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등장하고, 대학Y를 통해 학생사회개발단운동이 시작됐다는 것은 YMCA운동의 역사적 뿌리를 확인할 수 있는 사건이라 할 수 있다. 한국YMCA는 또한 1970년대 초반부터 ‘YMCA 정신과 구현되고 있는 프로그램과는 어떤 연관이 있는가?’, ‘프로그램을 통해 어떻게 YMCA 가치를 구현하고 있으며, 사람을 육성하는데 기여하는가?’를 질문하기 시작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이 우간다 캄팔라선언의 영향으로 1974, 한국YMCA 자체의 목적문을 작성하기 시작하여 3년만인 1976, 그 성과를 보게 된다. 그것이 지금의 한국YMCA 목적문이다. 1970년대 한국YMCA운동은 비전을 정립한 목적문을 발표하고, 간사 지도력 훈련을 위한 간사학교 등의 체계를 마련하는 등 운동의 기반을 다진 시기였다. 1980~90년대 한국YMCA운동은 1970년대 중반 양곡은행을 시작으로 농촌개발사업, 농민 지도자 교육과 향촌Y 재창립과 농민회 조직, 중등교사협의회 조직을 통한 교육운동의 시작, 노조 지도자 교육, 환경 지도자 교육 등을 통한 시민사회운동 리더십 육성, 소비자 교육과 시민자구운동, 생활협동조합운동과 인간의 얼굴을 한 21세기 지역만들기 운동, 다양한 영역과 지역에서의 시민사회단체 조직 및 지원 등 시민사회 확장과 리더십 육성이라는 YMCA운동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전국운동체로서 한국YMCA 100주년을 준비하고 있는 지금, 한국YMCA운동이 당면한 질문은 볼런티어 정신과 Association이 살아 있는가?’라는 것이다. 한국YMCA운동은 한국YMCA가 말하는 지역은 무엇인가?’, ‘지역에서 볼런티어 정신과 Association 운동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 그리고 구현되어야 하는가?’, ‘지금의 시대정신을 무엇으로 읽고 있는가?’, ‘이를 위한 운동의 비전과 사람이 준비되었는가?’라는 질문에 맞닥뜨리고 있다. 전국 65개 지역 10만 회원이 준비된 회원인지, 의 구체적인 삶에 다가가지 못하고 단지 공간적 의미의 지역을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문할 필요가 있다. 우리가 지역을 말하고 구체적인 생활현장을 말하는 것은 공동체적 삶의 자기 통치를 강화하고 이를 통해 연대하고 협력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이 YMCA운동의 본질 중 하나이다. 지역이 단순한 행정구역이나 프로그램 설정 단위의 편의적 구분이나 공간적 범주로만 이해되거나 이에 제한되고 있다면 형식적 수준의 지방자치에 머물고 있는 한국의 지방자치와 다를 바 없는 것이다.‘시민사회와 호흡하며 지도력을 육성하고 재원을 만드는 운동체로서 YMCA 본연의 역할에서 벗어나 있지는 않은지’, ‘서비스 전달체계로서 그 성격이 강화, 고착화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또한 50년대 이후 미국YMCA 프로그램과 기구 경영논리를 그대로 직수입하고 외원에 의존했던 한국YMCA운동이 YMCA운동의 정신은 사라진 채 경영논리만이 지배하는 비대화되고 기구화된 YMCA를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닌지 성찰해볼 필요가 있다. 안타깝지만 정신적 발전소로서의 영적 전통과 사회 개혁운동의 진지로서 YMCA운동의 동력이 이미 소진된 것은 아닌가라는 우려에 한국YMCA 100주년은 응답해야 할 의무가 있다.   


☆ 기독교청년회는 젊은이들이 그리스도의 뒤를 따라 함께 배우고, 훈련하며, 역사적 책임의식을 계발하고, 사랑과 정의의 실현을 위하여 일하며 민중의 복지 향상과 새문화 창조에 이바지함으로써 이 땅에 하느님 나라를 이룩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976423, 23차 대한기독교청년회연맹 전국대회에서 채택)


한국YMCA전국연맹과 성공회대학교의 공동 협력 과제 모색을 위한 워크숍’(2013년 10월 5오전 9시 30~12한국YMCA전국연맹 1층 회의실)에서 “YMCA운동의 형성원리와 시민사회운동의 과제라는 주제로 발표한 내용을 ‘YMCA운동의 형성원리와 관련된 부분만을 수정보완한 글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