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팔레스타인/올리브트리캠페인 OTC129

성탄을 팔레스타인과 함께 Olive Tree Campaign - Keep Hope Alive 올리브나무 한 그루가 만드는 평화 #팔레스타인 #올리브트리캠페인 #갈릴리호수 #골란고원 #성탄 #크리스마스 #평화의_나무를_심자 #성탄카드 13 □ 성탄을 팔레스타인과 함께 Olive Tree Campaign - Keep Hope Alive ○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땅과 생존을 지키고자 하는 한-팔 평화협력운동입니다. ○ 올리브나무 한 그루의 참여는 팔레스타인 농민들의 땅을 지키고 생명을 살리는 일입니다. ○ 팔레스타인 JAI(Joint Advocacy Initiative)를 통해 헤브론 Surif 마을, 나블루스 Aqraba 마을에 후원자의 이름으로 식재되어 팔레스타인 농민들의 땅을 지키고 삶의 존재 근거를 마련하는데 큰 힘이 될 것입니다. ○ 한-팔 올리브트리캠페인은 일회성 지원사업이 아닌 민民 스스로 민民과 만나는 '얼굴이 있는 지속.. 2022. 12. 24.
황선범 두레치과의원 대표원장, 팔레스타인 올리브트리캠페인 인터뷰 40 - 문화를 가꾸며 올리브 압둘라를 키우는 치과의사 팔레스타인 올리브트리캠페인 인터뷰 40 (2022. 12. 23) 황선범 두레치과의원 대표원장(고양YMCA 이사), 문화를 가꾸며 올리브 압둘라를 키우는 치과의사 - 평화의 메신저가 되어주세요 https://youtu.be/AVG1pXD5esw [https://blog.naver.com/peacekymca/222863733249 제3차년도(2022~2023) 올리브나무 모금캠페인 시작, '올리브나무 한 그루로 만드는 평화의 메신저' 올리브 나무 한 그루가 만드는 평화 2022~2023 제3차년도 팔레스타인 올리브나무 모금 캠페인 올리브나무 ... blog.naver.com 2022. 12. 23.
이경애 고양YWCA 사무총장, 팔레스타인 올리브트리캠페인 인터뷰 39 - 지역에서 팔레스타인과 동행하는 YWCA (2022. 12. 23) 팔레스타인 올리브트리캠페인 인터뷰 39 (2022. 12. 23) 이경애 고양YWCA 사무총장, 지역에서 팔레스타인과 동행하는 YWCA - 평화의 메신저가 되어주세요 https://youtu.be/k985C-mT7mI [https://blog.naver.com/peacekymca/222863733249 제3차년도(2022~2023) 올리브나무 모금캠페인 시작, '올리브나무 한 그루로 만드는 평화의 메신저' 올리브 나무 한 그루가 만드는 평화 2022~2023 제3차년도 팔레스타인 올리브나무 모금 캠페인 올리브나무 ... blog.naver.com 2022. 12. 23.
배현주 전 WCC 중앙·실행위원, 팔레스타인 올리브트리캠페인 인터뷰 38 - WCC 11차 독일총회와 한-팔 평화를 위한 노력(2022. 12. 22) 팔레스타인 올리브트리캠페인 인터뷰 38 (2022. 12. 22) 배현주 전 WCC 중앙·실행위원(전 부산장신대학교 교수) WCC 11차 독일총회와 한-팔 평화를 위한 노력 - 평화의 메신저가 되어주세요 https://youtu.be/UCItppZsaXg [https://blog.naver.com/peacekymca/222863733249 제3차년도(2022~2023) 올리브나무 모금캠페인 시작, '올리브나무 한 그루로 만드는 평화의 메신저' 올리브 나무 한 그루가 만드는 평화 2022~2023 제3차년도 팔레스타인 올리브나무 모금 캠페인 올리브나무 ... blog.naver.com 2022. 12. 23.
김재명 국제분쟁전문기자, 팔레스타인 올리브트리캠페인 인터뷰 35, 36, 37 (2022. 12. 22) 팔레스타인 올리브트리캠페인 인터뷰 35~37 (2022. 12. 22) 김재명 국제분쟁전문기자(전 성공회대학교 교수, 정치학박사), - 평화의 메신저가 되어주세요 https://youtu.be/m6FgqvSk-e4 https://youtu.be/9khjrF3R4Ok https://youtu.be/vUwW9EnfaoY [https://blog.naver.com/peacekymca/222863733249 2022. 12. 23.
김민수 Somnium 기독교정치사회연구소 대표, 팔레스타인 올리브트리캠페인 인터뷰 34 - 평화의 꿈으로 이어진 올리브나무 한 그루 팔레스타인 올리브트리캠페인 인터뷰 34 (2022. 12. 21) 김민수 Somnium 기독교정치사회연구소 대표, 평화의 꿈으로 이어진 올리브나무 한 그루 - 평화의 메신저가 되어주세요 https://youtu.be/6pqxBdNn5ro [https://blog.naver.com/peacekymca/222863733249 제3차년도(2022~2023) 올리브나무 모금캠페인 시작, '올리브나무 한 그루로 만드는 평화의 메신저' 올리브 나무 한 그루가 만드는 평화 2022~2023 제3차년도 팔레스타인 올리브나무 모금 캠페인 올리브나무 ... blog.naver.com 2022. 12. 23.
홍선의 중부대학교 국제통상학과교수, 팔레스타인 올리브트리캠페인 인터뷰 33 - 풍요와 평화를 기도하는 올리브나무 한 그루 팔레스타인 올리브트리캠페인 인터뷰 33 (2022. 12. 21) 홍선의 중부대학교 국제통상학과교수, 풍요와 평화를 기도하는 올리브나무 한 그루 - 평화의 메신저가 되어주세요 https://youtu.be/O0TzZv9O4JY https://blog.naver.com/peacekymca/222863733249 2022. 12. 23.
성탄을 팔레스타인과 함께, Olive Tree Campaign - Keep Hope Alive 평화의 나무를 심자. * 동-서아시아 평화의 축, 한반도와 팔레스타인 민民의 연대가 진정한 약자들의 평화, 하나님의 평화를 이루어가는 길로 평화로 팔레스타인과 동행하는 한국 시민사회 글로벌 평화운동의 중요성을 일깨우며 그 길로 안내해주신 김용복 선생님을 기억하며 만든 성탄카드. -------‐‐ #팔레스타인 #올리브트리캠페인 #김용복 #성탄 #크리스마스 #평화의_나무를_심자 #성탄카드 11 □ 성탄을 팔레스타인과 함께 Olive Tree Campaign - Keep Hope Alive ○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땅과 생존을 지키고자 하는 한-팔 평화협력운동입니다. ○ 올리브나무 한 그루의 참여는 팔레스타인 농민들의 땅을 지키고 생명을 살리는 일입니다. ○ 팔레스타인 JAI(Joint Advocacy Initiative)를 통해 .. 2022. 12. 22.
팔레스타인 올리브트리캠페인 기획 인터뷰 1 소개 - 서구와 이스라엘의 종교적 정복 이데올로기, 정치적시온이즘과 기독교시온이즘을 극복해야 팔레스타인이 보인다. 팔레스타인 올리브트리캠페인을 위해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기획 인터뷰를 두 차례 진행하고 있다. 기획 인터뷰를 생각하게 된 것은 팔레스타인에 대한 많은 오해 중 하나는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이슈를 종교적인 문제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지역의 문제를 종교 갈등의 하나로 치부하며 기독교 문명권과 이슬람 문명권간의 대립과 갈등으로 내세움으로써 이스라엘의 점령을 통한 미/서구 제국의 이해관계를 가리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스라엘은 '주인없는 척박한 땅에 세운 풍요로운 국가, 디아스포라를 극복하고 고향을 회복한 위대한 국가'로, 이슬람과 아랍에 대해서는 안전한 국제질서를 깨트리는 '테러와 전쟁의 주범'이라는 악의적이고 부정적인 이미지를 덧씌우고자 한다. 즉,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이슈를 종교적.. 2022. 12. 21.
성남주민교회, 2022년 팔레스타인 올리브트리캠페인 참여(104명 140그루 420만원) 올리브트리캠페인을 함께 기획하고 응원하며 매년 처음처럼 동행해주시는 개인, 단체, 기관들이 있다. 민주화와 인권운동으로, 지역사회 공동체를 위해 수고해온 교회로 잘 알려져 있는 성남 주민교회(담임목사 이훈삼)도 그 중 한 곳이다. 첫해년도에는 40여 명 60여 그루로, 둘째 해에는 89명 100그루로, 올해에는 104명 140그루 420만원을 보내주셨다. 교회 규모에 비해 결코 적지않은 금액이고 참여 인원이다. 사실 개인적으로 지난 해에 비해 12월 초까지 올해 캠페인에 크게 집중하지 못하고 있었다. 지난해에 비해 일의 규모가 늘고 이래저래 관계들이 많아지다보니 집중력을 가질 수 없는 형편이기도 했다. 동일한 조건에 일의 사이즈가 커진 환경에서 재정적 제한과 능력의 한계로 개인적으로 불가피하다는 생각도 .. 2022.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