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와 동아시아 평화

2018 세계평화대회, David H. Satterwhite 박사 주제강연 -오만, 고난, 겸손함, 그리고 희망 (Hubris, Hardship, Humility, and Hope)

by yunheePathos 2018. 11. 6.

2018 세계평화대회 주제강연 1

2018. 10.29, 인천하버파크호텔


오만, 고난, 겸손함, 그리고 희망 (Hubris, Hardship, Humility, and Hope) 

– 한반도의 평화 및 화해 정착을 위한 근본적 패러다임 전환의 시급함 


David H. Satterwhite, Ph.D (일본 템플대학교 교수)


1. [강사1] David Satterwhite.pdf

David 박사 영문 원고 보기


* 급한 일정으로 인해 일부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영문 자료를 본 텍스트로 참고해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보고서를 발간하며 수정보완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의 말>

신사 숙녀 여러분, 존경하는 참가자 여러분

먼저 제가 오늘 여러분과 함께 할 수 있도록 이 자리에 초대해주신 조직 자문위원회(Organizing Advisory Committee)측에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부족한 제가 이렇게 훌륭하신 분들과 함께 하게 된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하며 또한 이 자리에서 함께 대화하고 식견을 나눌 수 있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함께 동북아시아, 특히 한반도의 평화를 모색하고, 발전시켜 마침내 평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인내하고, 서로 길잡이가 되어주며, 함께해주실 것을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발표내용의 범위 및 요지>

저는 발표 내용의 제목을 오만, 고난, 겸손, 그리고 희망이라고 정했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미국을 포함해 한반도를 둘러싸고 있는 주요 강대국들이 한국인의 삶과 운명을 결정함에 있어 각국이 상황을 인식하고 분석하며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방식에 있어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한국은 전쟁의 폐허 속에서 고난을 딛고 일어나 진실로 역사적인 순간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마침내 한민족의 소망과 대화, 화해, 평화유지를 향한 열망에 기반을 둔 한반도의 새로운 미래를 향해 나아갈 기회가 무르익고 있습니다. 동시에 우리는 기존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태동되었고 지속되었는지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진정한 평화와 화해를 바탕으로 도약하는 한국의 미래가 기존의 패러다임에 의해 좌절될 수 있는 여지가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역사가 변화하는 순간 앞에서 우리는 역사를 이해해야할 당위적 필요가 있습니다. 패러다임의 본질을 정확히 파악하면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루어내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과제인지도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한국인의 운명을 결정하고 그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려는 결정을 함에 있어 더 강하고 보다 주체적인 목소리를 내고자 하는 한국인의 의지가 외면당하는 방식에 대해 우리는 강한 자에게 진실을 말하는” (우리가 퀘어커 신앙서약에서 말하는 바와 마찬가지로) 것이 필연적입니다.

한반도의 평화정착 과정에 참여하는 모든 이해당사자들의 역할을 인식하는 한편, 미국을 비롯한 주변 강대국들이 지속적으로 행사하려는 거만함의 정도에 주목하는 것은 우리의 책임입니다. 이들 강대국들이 그들의 말과 행동으로 볼 때 한국의 미래에 대한 결정을 한국인들에게 주고 싶어 하지 않으며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기를 원한다고 단정 짓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우리가 역사를 알면 지금까지 확산된 패러다임은 여전히 운전자석에 앉는 것전략적 계산, 적대주의 그리고 전쟁 수행 능력에 초점을 맞춘 것임을 깨닫게 됩니다. 우리는 패러다임을 구성하는 요건들이 적절히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보다 효과적으로 패러다임을 구상해 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스스로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고 시나리오를 구상해 낼 수 있습니다 신속 정확한 공격(surgical strikes)” 이나 부수적 피해(collateral damage)”가 아닌 전략 계획과 시나리오를 만들어 한반도에 항구적 평화가 지속되고 성장해갈 수 있는 구조를 정교하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평화를 향한 우리의 비전은 전시체제의 종식을 훨씬 넘어서는 것입니다. 언제라도 전쟁이 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담보한 채 언제나 위태로운 전시체제의 종식 또는 적대세력의 부재를 평화로 간주하는 것은 오류입니다. 현재의 패러다임에서 안보라는 개념은 왜곡된 불안을 양산시킵니다. 이를테면 양측이 보유하고 있는 핵무기를 포함한 군사력에 대한 두려움에서 핵무기가 사용될 수도 있는 전쟁이 억제되는 방식, 즉 군사력이 정치력을 가진 외교를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습니다.

우리를 오늘 이 자리에 있게 한 역사와 패러다임에 대해 말씀드린 후 저는 대안적 패러다임의 구성요소에 집중하려고 합니다. 여기에는 신뢰구축 조치, 다면적 교류, 외교적 관계, 한국전의 종식을 의미하는 종전 협약, 그리고 안정을 증진시키고 일방적 위험을 방어하는 경제협력 등이 포함됩니다.

독재를 타도하고 군부 정권을 몰아내어 마침내 서울의 봄을 일구어내기까지 한국인들이 오랜 시간을 끈기 있게 인내해 온 것처럼, 평화를 향한 우리의 열정은 승리할 수 있고 또 반드시 달성되어야 합니다. 엄청난 고난과 값비싼 희생을 치르면서 한국 국민들은 (제가 영광스럽게도 제가 함께 하는 분들의 리더십에 따라) 포용적이고, 대의적 민주 정치를 뿌리내렸고 이를 바탕으로 인권 신장과 법치주의를 대한민국에 공고히 세웠습니다. 우리는 한국 국민의 성취하려는 다음 목표 - 억지로 분단된 한반도와 한민족의 통일 가능성을 향해 나아가는 속도와 방향을 스스로 결정하는 것 - 에 적극 공감하고 있습니다.


<“물구나무선 클라우스비츠 - 강대국의 경쟁, 간섭, 그리고 전쟁의 역사의 종식 (Clausewitz on his head” Ending a history of great-­power rivalry, interference, & war)>

제가 지금까지 말씀드린 주제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먼저 오만 vs 겸손이라고 제목을 붙인 내용에 대한 배경설명으로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짚어보겠습니다.

이웃나라 중국에서는 1849년에 시작된 아편 전쟁에서부터 1949년 중국 내전이 끝났을 때까지 100년간을 일컫는 치욕의 한 세기를 반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호로 여겨집니다. 중국은 서구 제국주의의 침입, 영향력의 쇠퇴, 그 이후 국력을 재정비하고 자긍심을 다시 세우기도 전에 일본에 의해 자행된 악랄한 전쟁으로 인해 정말이지 치욕스런 시절을 견뎌야 했습니다. 우리는 중국이 역사의 교훈을 성찰함으로써 당시 그들이 견디었던 고통과 수모를 자국민이나 다른 민족이 겪게 하지 않기를 희망합니다.

한국에서 우리는 한반도내에서 또 그 주변 지역에서, 현재까지 100년이 채 되지 않는 기간인 전쟁의 세기에 대해 주의 깊게 성찰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1894년에서 1895년까지 계속된 중일전쟁에 이어 1904년에서 1905년까지는 러일전쟁이 일어났습니다. 이 두 전쟁은 모두 한반도의 지배권을 두고 강자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싸움이었습니다. 그 한 가운데에서 1910년부터 1945년까지 한국인들은 일본의 식민지배의 손아귀에서 문화적 치욕을 감수해야 했습니다. 많은 사람이 이에 굴하지 않고 저항했고 민족 자결과 독립을 외치며 전국 방방곡곡에서 일어났던 31일 만세운동은 잔인하게 진압되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의병이 되어 싸웠습니다. 그 후 한국은 일본의 아시아 침략에 병참이 되는 비극적 숙명을 감당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식민 압제로부터의 해방은 아시아에서 냉전의 제1막으로 묘사되는 사건인 한반도의 분단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이후 미국이 제안했던 일시적 분단 상태는 소련이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고 전쟁이 참여하게 됨으로써 정착된 일시적분단이 지난 73년 동안 계속되었습니다. 1945년부터 1948년까지 남한이 미군 사령부의 통치를 받는 동안 내전이 계속되었고 결국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할 때까지 끈질기게 지속되었습니다. 한국전쟁은 냉전(Cold war)이 열전(Hot war)이 된 첫 번째 사건이기도 합니다.

3년 동안 어마어마한 희생과 끔찍한 고통이 따랐던 한국전쟁이 아직도 끝나지 않았음을 우리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휴전협정으로 총소리는 멈추었지만 1953년부터 65년 동안 적대행위와 값비싼 군비 경쟁, 그리고 서로 다른 두 국가로 살게 되었고 전시체계에 기반 사회구조가 만들어졌으며 신뢰는 무너지고 서로를 주적으로 설정했으며 양쪽 모두 내부의 압제정치를 호전적 대치 상황으로 정당화하며 적대감을 고조시켜 갔고 결과적으로 일촉즉발의 전쟁위기 상황까지 비화되었습니다. 계속해서 긴장이 고조되고 실제 전쟁가능성까지 고려되었던 19761994년 그리고 우리가 목도하고 있는 2017년의 상황이 그러한 실례가 되겠습니다.

요약하지만 한국인과 한반도는 거의 125년 동안 일종의 전쟁을 겪었던 셈입니다. 또한 많이 늦기는 했지만 이 비극적인 전쟁의 지속 상태를 끝낼 수 있는 진정한 평화를 이룰 수 있는 적기를 맞게 되었습니다.

역사를 공부하는 학생들은 칼 폰 클라우스위츠에 대해 알고 있을 것입니다. 프러시아의 장군이었던 그는 200년 전에 널리 읽히는 영향력 있는 저서인 전쟁에 관하여(On War)를 썼습니다. 펴낸 바 있습니다. 지난 40년 이상 한국을 알고 한국에 대해 연구하면서 제가 자주 강조했던 것은 한반도의 전쟁상태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미국의 안보 전략가들과 정책 결정자들이 수립하여 현실화된 것으로, “물구나무선 클라우스위츠 (Crauswitz on the head)”는 표현이 적합할 것이라는 점입니다. 그 의미를 설명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왜 제가 오늘 이 자리 그 말을 인용하는지도 말씀드리겠습니다. 클라우스위츠는 자주 인용되는 그의 말 전쟁은 다른 수단을 사용하는 외교의 확장(War is but an extension of diplomacy by other means)”전쟁은 단지 정치적인 행위일 뿐 아니라 동시에 실제적 정치 수단이며 정치적 거래의 연속이며 다른 수단을 사용해 같은 목적을 실행하는 것이다(War is not merely a political act, but also a real political instrument, a continuation of political commerce, a carrying out of the same by other means)” 로 명성을 얻었습니다.(On War, Book 1, Chap. 1, 24, J.J. Graham 1873 translation).

클라우스위츠가 말한 다른 수단에 의해 외교의 확장이라는 부분에 집중해 보겠습니다.

1953년 휴전협정이 조인된 후에도 한반도는 지속적인 전쟁상태였습니다 - 언제라도 적극적 호전행위를 개시할 수 있는 준비와 계산된 역량, 핵무기를 포함해 실제로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안보역량에 집중하는 것 다른 수단을 통한 외교의 연장은 지속적인 전쟁 상태이며 외교가 완전히 부재하는 것과 유사한 상태입니다. 다시 말해서 외교적 노력을 시도한다면 클라우스위츠가 했던 말과 정반대, 전쟁이 외교의 연장이 아니라 외교가 전쟁의 연장이어야 합니다. 전쟁이 운전자석에서 앉아있었습니다. 전쟁이 지배적인 패러다임이었습니다. 외교는 단지 다른 수단에 의한 전쟁의 연장으로서 부분적인 노력을 하고 뒷북치기 역할만을 했을 뿐입니다.

오만과 겸손이라는 제목에 대한 저의 발표가 패러다임과 연결되어 있는 만큼, 또한 한국의 준전시 상태에 대한 전략적, 정책적 의사 결정을 고려할 때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믿고 있기 때문에, 그리고 전쟁의 종식시키고 평화의 패러다임 건설하는 진정한 평화의 미래를 향한 우리의 노력이 이와 무관하지 않은 이유로 잠시 후에 패러다임에 대해서도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만 vs 겸손 - 패권주의 의사 결정의 오만을 넘어서(Hubris vs. Humility Overcoming the arrogance of hegemonic decision­making)>

2017년 내내 미국은 북한에 대해 선제공격을 할 준비가 되어있으며 그것이 멀지 않았다고 호언장담했습니다. 그러다 올해 1월부터는 이와는 완전히 상반되는 극적인 반전이 이루어졌습니다. 도발적인 전쟁광적 분위기에서 한국과 북한, 중국, 미국이 참여하는 여러 차례의 정상회담으로 방향이 바뀌자 우리들과 세계인들은 안도의 숨을 쉬며 보다 합리적인 접근법인 대화를 통해 한반도가 전시체제에서 보다 안정적인 위상을 갖게 될 수도 있는 희망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저는 우리 모두가 1년 전에 걱정했던 상황의 급작스러운 전환을 조심스러운 낙관론으로 지켜보고 있는 사람 중에 하나입니다. 동시에 어쩌면 정말로 평화의 방향으로 진행될 수도 있겠다는 바램도 가져봅니다.

우리는 희망적인 대화가 진행되는 한 해를 (적어도 지금까지는) 축하하면서도 과거와 같은 패러다임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는 것과, 한반도를 둘러싼 관계에 있어 당면한 변화에 대한 저항세력으로 인한 위험, 과거로의 후퇴 등에 유념해야 합니다.

앞에서 저는 한국 역사 에서 지난 125년 동안 우리를 가두었던 전쟁의 프레임을 여러분께 상기시켜드렸습니다. 제가 오늘 말씀드렸던 강자에게 진실을 말한다는 정신으로 한국을 소유하고 싶어 했고 결정권을 갖고 싶어 했던 주요 강대국의 태도에 초점을 맞춰서 한국 역사의 다른 측면을 제시해 보겠습니다. 이런 태도에 대해 비난하려는 것이 아니라 과거에도 그랬고 현재에도 계속되고 앞으로도 변하지 않을 주변 강대국들의 태도를 볼 때 이를테면 미국, 일본, 기타 다른 나라들이 한국을 대하는 자세는 패권주의적 의사결정이라는 거만함으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따라서 한국은 이에 대한 경계심을 늦추지 말고 더욱 신중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제정 러시아 (Czarist Russia)와 중국의 청나라 (the Qing Dynasty)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기 몇 년 전에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놓고 일본과 전쟁을 했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또한 그 전쟁이 일본의 승리로 끝났고 그 결과 한국을 보호국으로 지정하는 을사보호조약이 1905년에 체결되고 이어서 미국의 중재로 러시아 포츠머스 조약(the Treaty of Portsmouth)이 체결됩니다. 1905년은 또한 미국이 한국의 운명에 간섭하는 파란만장한 역사의 한 획을 긋는 해였습니다. 그날의 기억은 벌써 100년이 넘은 세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의 기억에 생생하게 남아있습니다. 묵은 과거를 다시 들추어내기보다는 우리의 관심은 미래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간략히 몇 가지 사건만 정리해도 충분할 듯합니다.

1905년의 가쓰라 테프트 밀약 (The Taft­Katsura Agreement of 1905) : 일본이 (1898년부터 미국 식민지였던)필리핀에 대한 공격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에 대한 대가로 한국을 보호국으로 만들고 궁극적으로 한국을 식민지화하려는 의도로 한국을 보호국으로 만든 밀약.

1907년 헤이그 만국 평화회의 (1907 Hague Convention)에 한국 민족주의자 대표단 파견을 미국은 1905년에 맺은 보호조약에 따라 한국에 외교 관계에 대한 권리를 일본에 넘겨주었다고 주장하면서 거절함으로써 일본과 공모했다.

미국은 소련이 88일부터 일본과 새롭게 전쟁을 시작하여 한국 전체를 지배할 수도 있을 것임을 인지하고 미국과 소련은 일본의 항복을 수락하고북위 38도를 경계로 남, 북으로 한반도를 일시적으로 분할하여주둔하자는 제안을 소련에 스탈린에게 했다. [Colonels Dean Rusk & Charles Bonesteel proposed the 38 th Parallel on Aug 10­11 in Washington, D.C. when ordered to select a suitable line in Korea]

1945년부터 1948년까지 미국 군사 정부를 수립하여 극우 보수주의자였던 이승만을 세워 진보 및 좌익성향의 정치 성향을 가진 진영을 적극적으로 탄압하였고 초기의 자치 정부 수립 요구 수락을 거절했다.

1961년 박정희 장군의 쿠데타를 암묵적으로 용인하였으며 1972년에서 1979년까지 유신헌법체제아래 갈수록 심해지는 독재통치시기에조차 박정희 정권을 지원했다.

전두환/노태우 군사 정권이 19805월 광주항쟁을 군사적으로 진압하려는 계획을 세웠을 당시 광주 시민 위원회측이 미국이 평화적 해결책을 지지해 줄 것을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개입을 거절했다.

광주 항쟁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전두환 정권을 지지하였고 1981년 전두환을 국빈자격으로 레이건 대통령을 방문하도록 초대했다.

이 밖에도 인용할 수 있는 것이 많지만 앞에서 열거한 역사적 사례만 가지고도 미국은 한국 국민의 국익을 무시하거나 억압하더라도 가시적인 자국의 이익을 추구해 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알면 최근 미국 정부가 한국 정부를 참여시키지 않은 채 한국 땅에서의 심각한 행동에 대해 고려했던 사례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1994년 미국은 북한에 대해 독자적인 군사 행동을 취하기 일보 직전까지 긴장을 몰고 갔고 보다 최근 사태로는 2017년 미국이 북한에 대해 전쟁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언급으로 비약되기에 이르렀습니다. 미국의 전쟁 가능성은 분명히 실제로 존재했으며, 만약 미국이 북한에 대해 독자적 군사행동을 감행했다면 현 문재인 정부는 이를 거절할 수도, 거부권을 행사할 수도 없었을 것입니다.

저는 이 같은 행동을 표현하기 위해 거만이라는 단어를 선택했습니다. 미국의 국가이익을 위해 한국 국민이 바라는 것을 무시하는 미국의 태도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것이 민주적으로 선출된 한국 정부의 표명하는 국민의 희망이라고 해도 미국의 결정이 달라지지 않았을 것입니다. 한반도의 두 나라가 대화를 모색하고 화해를 향한 발걸음을 내딛고 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강대국의 거만함이 아직도 분명하기 때문에 우리는 앞으로 몇 주, 몇 달, 혹은 몇 년 동안 경계심을 늦추지 말아야 합니다.

한쪽에서는 문대통령이 미국과 북한간의 협상에 있어 중재자라고 높여주면서 다른 한편 으로는 문대통령이 김위원장과 세 차례의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에 대한 압박을 가하는 문제에 대한 타협책을 찾는 과정에서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는 경제지원을 비롯한 기타 조치를 통해 화해로 나아가는 길을 모색한다는 합의에 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그리고 조금 후에 말씀드릴 일본)은 북한에 대해 최대한의 압박을 지속하겠다고 천명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한국에 대한 식민지배의 역사와 문화적 전쟁을 일으켜 온 장본인으로 오만이라는 단어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고려할 가능성도 있는 듯합니다. 태평양 전쟁당시 일본이 강제로 동원한 위안부에 대해 일본 정부가 회피와 공식적 책임을 부인하려고 애쓰지 말고 정직한 인정을 포함해 한국인들에게 중요한 문제에 대응하는 것이 그 출발점일 것입니다. 해결되지 않은 납북자 문제에 대한 일본의 우려는 당연히 일본에게는 중요한 문제이겠지만 그 문제가 한반도에서의 전쟁 발발을 피할 수 있게 하는 평화정착과 화해에 걸림돌이 되게 하는 것은 거만함의 극치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거만에 반대에 있는 것이 겸손입니다. 거만은 강대국들이 자국의 이익을 최우선시 하는 국제 관계에 깊이 뿌리내려 있습니다. 반면에 겸손은 밖으로 부각되지는 않지만 그들의 결정이 잘못될 수도 있고 따라서 재검토를 통해 수정되어야 함을 진실하게 인정하는 것입니다. 겸손은 그 나라의 약점으로 인식되기보다 오히려 국격을 보여주는 힘의 상징으로 높임을 받습니다. 마찬가지로 거만함은 공허한 오만의 상징으로 인식되어질 뿐입니다. 일본이 평화로운 미래를 염원한다면 한국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숙고해야한다고, “강자에게 진실을 말하려는우리의 노력이 아슬아슬한 기회가 찾아온 이 시점에서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요?

<비핵화된 한반도를 향한 발걸음 - 역사적 맥락 & 미래를 향한 현실적 방안 (Steps toward a denuclearized Korean Peninsula Clarifying historical context & a realistic path forward)>

2018년 판문점 그리고 평양 선언의 정신에 따라 평화적인 화해를 모색함에 있어 한국전 종식과 같은 보다 큰 이슈와 그 진행방향은 북한의 핵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축으로 하여 움직일 것입니다.

북한이 핵무기 제조 능력 획득하고 핵무기 발사 수단의 소형화에 성공함에 따라 주변국의 긴장이 고조되었고 세계는 우려의 시선으로 이를 지켜보았습니다. 이제 전 세계가 이 문제가 평화적으로 해결되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러한 희망에 동참하며 그 노력의 일환으로 전쟁의 역사적 맥락과 자국의 미래를 한국인이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 맞다는 관점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자 했습니다. 또한 시급한 핵문제에 대해서 전후관계를 짚어보고자 합니다.

먼저 우리가 더불어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몇 가지 간단한 질문과 배경 설명으로 시작하겠습니다.

첫째, 왜 국가들은 핵무기 개발에 노력하고 핵무기 보유를 확보하려고 할까요?

둘째, 1970년대 중반 한국이 자체적으로 핵능력 보유를 추진했던 배경은 무엇이었을까요? 한국은 왜 그 계획은 중도에 폐기했을까요?

셋째, 한국이 추진했던 핵으로 가려고했던 시도가 1990년 초반 북한이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을 도입한 이유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까요?

넷째, 미국과 북한이 맺었던 핵동결협약 (the Agreed Framework)과 핵무기 생산 능력의 실용개발을 저지하는 관련노력이 수포로 돌아간 것에 대해 북한이 전적으로 비난받아야 할까요? 그러한 일련과 과정과 그 실패에 대해 두 국가의 정책 변화와 그 과정에 대해 꼼꼼히 되짚어가기 보다는 단순히 북한의 행동에 대해서만 부각시킨 언론 기사는 얼마나 정확했을까요?

다섯째, 유엔이 채택한 국제적 제재조치는 북한을 일방적 비핵화과정으로 이끌어 내기 위한 것이었으며 많은 국가들이 그와 같은 제재를 통해 북한이 비핵화를 천명하는 분명한 입장을 발표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것이 정확한 주장일까요? 아니면 북한에 새로운 젊은 지도자가 집권함에 따라 한국이 실제로 역사적 기회의 순간을 맞고 있다는 인식이 있었을까요? 나아가 최대한의 압박을 지속한다는 전략이 실제로 의도했던 성과를 달성하고 있을까요?

여섯째, 북한이 핵무기 보유 능력을 추구하고 성공하게 된 근본 원인에 대해, 또한 최근에 북한이 분명히 밝히고 있는 철저한 비핵화과정을 이행하려는 이유를 이해하려는 우리의 노력이 있었을까요? 비핵화를 실천하고 성공할 수 있는 기본 조건이 무엇인지 우리는 알고 있을까요?

일곱째, 미국이 보유한 세계 최고의 선진 핵 능력이 지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황에서, “선제공격은 없다 (No First Strike)”는 정책적 선언을 거부하는 방침을 유지하고 있는 나라에 의한 위협적이고 공격적인 무력 과시가 지속되고 상황에서, 북한이 일방적 비핵화를 할 수 있도록 북한의 안보와 안전에 대해 어떤 보장을 해 주어야 할까요? 비핵화를 향한 의지와 그에 상응하는 상호 호혜적 조치가 있을까요? 미국은 그들이 보유한 핵무기를 사용하겠다는 위협이나 핵무기를 줄이거나 완전 폐기할 준비가 되어 있을까요? 그렇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여덟째, 제가 이글을 쓰고 있는 현재에 유엔 제재조치에 대한 팽팽한 의견 대립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한쪽에서는 유엔의 제재조치를 북한이 현재까지 보여준 노력에 대한 대가로 그에 상응해 점진적으로 풀어줌으로써 앞으로 북한이 선의에 기초해 비핵화과정으로 이행해가는 약속을 계속 추진해나가도록 독려해야 한다는 의견을 주장하고 있고, 또 다른 쪽에서는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한 비핵화가 검증될 때까지 최대한의 압박기조가 유지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 어느 쪽이 지금까지 북한이 보여준 명확한 의지와 선의를 반영하고 있을까요? 만약 한국이 북한에 대한 경제적 지원 협력에 암묵적으로 결부되어 있는 제재조치의 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다른 쪽에서는 계속해서 그럴 수 없다고 주장할까요?

이 각각의 의문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볼 수 있는 시간이 없지만, 우리 모두가 한반도에 군사적 긴장에 대한, 특히 북한의 핵 프로그램의 성공적 완성에 따른 영구적 해결책을 찾고자 하다는 것을 전제로 할 때 이는 핵심적인 질문들입니다.

첫째, 국가는 대체로 타국의 공격 위협에 대한 잠재적 억지수단으로 핵능력을 개발하고 강화합니다.

둘째, 한국은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서 패전의 기미가 확실시되고 결국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남베트남을 북쪽의 공산주의자들에게 빼앗기게 되었을 당시, 핵심 우방인 미국이 제공하는 핵우산과 안보에 대한 신뢰가 깨어졌고 그 당시 자체적인 핵능력을 보유하려는 시도를 했습니다. 이 같은 한국의 핵무기 개발 노력은 미국이 만약 한국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계속 추진한다면 미국에 의한 안전 보장은 번복될 것이라고 하여 결국 저지되었습니다. 여기서 안전 보장이 갖고 있는 의미를 기억해야 합니다.

셋째, 북한의 핵개발 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핵심적인 궤도에 들어간 것은 1989년부터 1991에 걸쳐 구소련과 그 동맹국들이 붕괴되었을 시점이었습니다. “핵우산을 상실했다고 판단한 북한은 미국이 갖고 있고 한반도에 배치한 공격적인 핵 능력에 대한 억지력을 확보할 당위성을 느꼈을 것입니다. 우리는 이 지점에서 한국전쟁기간을 포함해 195010월부터, 즉 북한 정권은 그 존립 초기부터 핵공격에 대한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위협에 직면해왔다는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들이 인지했던 위협을 간단히 정리한 목록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포함됩니다.

허드슨 하버 작전 (Operation Hudson Harbor)”에서 미국의 B-29 전폭기가 북한의 수도인 평양 상공에서 모조 핵탄두를 투하하였는데 북한을 위협하기 위한 계산된 작전으로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한지 5년이 지나고 한국전쟁이 시작된 후 몇 개월이 지난 시점이었습니다.

미국은 한국전쟁 당시 북한을 비롯한 인접국인 중화인민공화국(중국)과 소련 극동에 원자폭탄의 사용 계획을 수립하고 미국 본토에 위치한 시설에 원자폭탄을 괌과 오키나와로 수송하였습니다. 당시 미국의 트루먼 대통령은 맥아더 장군을 해임하였고 그 주된 이유가 맥아더 장군이 북한과 주변 공산국가에 대해 핵무기 공격을 선호하며 사용할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의 방어 체제에 있어 빈번하게 언급되는 의혹과 우려는 북한이 수천 개에 달하는 주요 정부 및 안보 시설이 깊은 지하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거의 인정하지는 않지만 이는 아마도 미국의 원자/핵무기 공격의 위협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대략 1957년부터 1993년까지 한반도 배치된 유일한 원자/핵무기는 미국의 것이었고 모두 북한을 타겟으로 하고 있었습니다.

이와 같은 미국 무기는 수량도 많고 지상, 해상, 공대지 미사일에서부터 만약 전쟁이 일어나게 된다면 전투 현장에서 그 핵무기를 적군에게 빼앗기게 될 가능성보다 전투 현장에서 명령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훨씬 높은 휴대용, “데이비 크로켓 (Davy Crocket)”과 같은 2-3인용 전장무기에 이르기까지 발사 메커니즘도 다양합니다. 따라서 전쟁터에서 핵무기 사용의 문턱이 훨씬 낮아지게 됩니다.

중성자 폭탄 (Neutron Bomb)”의 제작자는 한국에서 그가 직접 본 지형에 따라 만들었다고 기록하며 이 폭탄을 사용하면 공격한 구조물은 파괴하지 않고서 생명체만을 살상할 수 있다고 하며 북한의 지하 시설에 대해 사용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017년 미국 정부 및 군사 발표에서 보듯이 미국의 전략군 병력이 북한을 목표로 근접 비행 시간이내로 상시 배치되었으며 미국의 총사령관의 말을 빌리면 북한 전역을 초토화할 수 있도록 바로 공격할 수 있는 상태(locked and ready)”에 있다고 합니다.

말씀드렸듯이 북한 정권은 집권기간 대부분에 걸쳐 원자/핵무기 공격에 실제적으로 직면해 있었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이 절대 정당화될 수는 없습니다. 오히려 북한처럼 작고 가난한 나라가 굳이 핵무기를 개발한 것은 - 미군의 손에 의한 정권 교체를 목적으로 한 국부공격(surgical attack)”이든 북한 사회를 파괴하는 전면적인 공격이든 - 일방적인 공격을 받지 않기 위해 억지력 가져야 했다는 객관적 동기가 있었을 것입니다.

북한은 이제 다양한 경로를 통해 또한 한국의 대통령에 직접적으로 안전 보장을 해주는 단 한 가지 조건으로 비핵화 의지를 밝혔습니다. 오늘날까지 북한의 안전에 대한 신뢰할만한 보장 - 북한의 억지적 핵능력을 해체하기 이전 혹은 그 이후 - 이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보답으로 제시된 바 없어 보입니다.


<“평화 정착을 위한 진전된 발걸음 검증 가능한 화해 및 평화구축 패러다임 (Steps forward in “securing the peace” Denuclearization in a context of a verifiable Rapprochement and Peace-­building Paradigm)>

한반도에 대한 주요 강대국 - 주로 미국과 일본 - 의 정책을 인식하고 분석하는 기존 패러다임은 지속적 전시상태를 전제로 한 평화를 유지하는 전략적 안보 우선(Strategic Security-first)관점이라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패러다임은 몇 가지 핵심 전제에 기초하고 있으며 여타의 지배적 패러다임이 그렇듯이 그 전제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습니다. 그러한 핵심 전제 조건은 다음 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비적대적 의사에 대해 의심하는 극단적 불신에 기반한 적의 이미지(enemy image)”

북한을 예측불가능하고 불량한 국가로 묘사

미국, 일본, 혹은 기타 다른 나라의 정부를 포함해 모든 정권의 본질은 정권 수호를 당연하고 분명한 정치적 권리이며 국가적 우선순위라는 사실을 무시한채 북한만이 정권 수호를 최고의 목표이며 이에 병적으로 집착하고 있다는 인식

북한을 공격 목표로 한국에 인접해 사전에 미리 배치되어 있는 핵무기를 포함한 미국 무기를 포함해 전쟁을 개시할 준비 태세

적의 기만(enemy deceit)” 에도 불구하고 적의 약점에 직면했을 때 진정(appeasement)” 의 노력으로 외교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본능적인 의심

북한의 일방적인 비핵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미국에 추진하고 있는 북한에 대한 안전보장과 같은 호혜적 조건 제시 없는 최대 압박(Maximum Pressure)”과 비타협적 제재조치

한국 국민이나 한국 정부가 선호하는 정책이나 관점에 대한 고려 없이 한국의 미래에 영향을 주거나 결정하는 관점이나 의사 결정권을 정당화하는 미국(또는 일본)의 패권주의적 신념

이런 맥락에서 수십 년 동안 지속되어 온 미국의 정치적 방향성 그리고 2018년 한반도를 둘러쌓고 있는 클라우스비츠를 염두에 둔 (Clausewitz on his head)” 또는 전쟁 지향적 태도 (war-­fighting mentality)”가 주도하는 정책 방향은 반발을 야기할 수 있는 실제적 가능성을 배태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패러다임을 주창한 사람들은 위협을 느끼게 될 것이고 그들이 이라고 간주하는 기만적인 북한의 유일한 목표가 한반도의 안정과 질서를 파괴하고 한국 정부를 전복시키려 한다고 확신한다면 북한에 의사에 대해 결코 신뢰할 수 없을 것이며 따라서 의미 있는 대화의 성공이라는 방향과 그 궤적을 심각하게 손상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와 같은 패러다임은 본질적으로 불안정하며 영구적 평화를 훼손하며 적대적 행위의 재발이나 비화로 악화될 수 있으며, 또한 한국인이 자국의 미래를 결정하는 의사 결정권에 대한 심각한 무시라고 판단하는 사람들이 택할 수 있는 대안적 균형 패러다임(counter-balanced paradigm)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만약 화해와 비핵화를 포함한 검증 가능한 긴장 완화가 진정으로 원하는 종착점(end-game)” 이라면 신뢰 구축, 자신감 정착, 상호 이해 및 대화 증진, 비군사적 해결책 강조, 한국인이 동의할 경우 궁극적인 통일을 위한 단일한 한국의 비전 공유를 위한 자유로운 의사소통으로 이어질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적극적으로 탐색해 나갈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입이 필요할 것입니다.

그 패러다임은 다음 내용을 시작으로 평화 구축 의사를 반영하는 일련의 구체적 단계를 요구합니다.

북한, 미국 그리고 일본 간의 완전하고 상호 호혜적인 외교적 인정

정전협정을 대체하는 평화조약 체결을 지향하는 시의적절하고 체계적인 단계

군사, 문화, 사회 및 정치적인 분야에서의 신뢰 구축 조치

북한의 빈곤을 퇴치하고 한국과 북한 경제의 궁극적 통합을 위한 기초 형성을 위해 합의에 기초한 한국 및 제 3(ADBIBRD) 투자를 통한 북한 경제 인프라 재건 촉진과 더불어 시의적절한 경제 제재조치 완화

북한의 검증 가능한 비핵화와 북한의 안전 보장에 핵심이 되는 미국의 선제 사용 불가 (No First-Use) 선언와 더불어 상호호혜에 입각한 북한 및 한국의 공격적 군사 역량의 감축

한국 국민이 자유롭게 한민족과 한반도의 평화로운 통일을 이룩하는 미래 결정에 있어서의 자유를 추구할 수 있는 장기적 협력을 진작시킬 수 있는 공동 운영 기관 설립

 

<맺는말>

패러다임 전환은 본질적으로 도입이 어렵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지난 45년 동안 한국과 긴밀하고 개인적인 인연을 통해 확신을 갖게 된 영구적이며 심도 깊은 변화를 이루어낼 수 있는 한국인의 역량에 깊은 신뢰를 갖고 있습니다.

저는 한국의 민주화 와 인권에 대한 존중이라는 오랜 투쟁의 역사에서 조용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던 훌륭한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었음을 대단히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그들은 생명의 위험을 무릅썼고 생계를 위협받았지만 시민권, 인권, 대의제, 법치주의 그리고 한국 국민의 존엄에 대한 숭고한 확신을 지켜나가기 위해 엄청난 대가를 치렀고 마침내 세계무대에 자랑스럽게 우뚝 서게 되었습니다. 그분들과 한국인들은 험난한 역경을 참고 인내하며 끝내 극복하여 대의 민주주의가 숨 쉬는 사회 건설에 성공하였습니다.

제가 오늘 여러분과 함께 이 자리에 서게 된 것이 큰 영광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저를 부끄럽게 만들기도 합니다. 저는 깊이 뿌리 내린 미국의 원칙과 가치를 다시 한 번 되새기며 미국인임에 긍지를 느낍니다. 하지만 동시에 한국 문제에 있어 진리, 정의, 평화, 화해를 굳게 지켜온 한국인들에게 고통스러운 결과를 가져 올 수도 있는데도 불구하고 자국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미국의 오만함을 목도하면서 부끄러움도 피할 수 없습니다.

저는 지조 높으신 한국의 지도자들을 개인적으로 알고 함께 했던 영광을 누렸습니다. 함석헌 선생님,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님, 대통령님들과는 후에 청와대에서 다시 만났었지요. 김관석 목사님, 박경규 목사님, 문익환 목사님, 문동환 목사님, 안병무 교수님, 한국 최초의 여성 법률가이셨던 이태영 변호사님, 윤보선 대통령님, 김영삼 대통령님, 이희호 여사님, 권동휘, 박용길 여사님을 비롯해 민주화 운동에 앞장섰던 탁월한 여성 지도자분들, 지명관 교수님, 그리고 나의 , 오재식, 안재웅을 비롯해 오늘 이 자리에 함께 하는 친구들과 동료들, 인생은 멋진 사람들을 만나 함께 하는 놀라운 특권과 영광을 누렸습니다.

1975년 여름 명동 성당에서 열렸던 존경받는 지식인 고 장준하 선생님의 장례식, 197631명동구국선언으로 기소된 18명 피고인에 대한 재판이 열렸던 법정, 네 분의 목사님들이 연루되었던 19763.1광주구국선언 관련 재판 참석, 역시 1976년에 있었던 시인 김지하 선생님의 재판 당시 그의 담담한 최후진술을 함석헌 선생님 곁에서 함께 들었던 기억, 끝내 사형선고가 내려졌을 때 시인 김지하가 염원했던 민주주의가 꽃피는 서울의 봄”, 1976년 크리스마스이브에 서대문 형무소가 내려다보이던 매섭게 추운 겨울밤, 명동구국선언 사건으로 구속된 18인이 민주주의를 향한 외침으로 화답 받으며 불렀던 크리스마스 캐롤, 이 모든 순간 하나 하나가 제게는 영광으로 각인된 잊을 수 없는 기억입니다.

민주주의 대한민국의 비전을 오늘날 현실로 이루어낸 것은 그들과 훌륭한 지도자와 또 오늘 이 자리에 계신 분들을 비롯해 그들과 함께 했던 수천 명의 동지들의 노력과 굴하지 않는 기개덕분이었습니다. 그들의 강인함, 용기, 헌신을 제가 직접 봤고 경험했기에 저는 감히 오늘 우리가 함께 열망하는 그 비전, 평화가 넘치는 한반도의 화해와 미래라는 꿈이 성공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끝까지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대한민국 역사가 분수령에 서 있는 오늘 여러분과 함께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심에 다시 감사드립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