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YMCA 교류 약사
일본YMCA동맹 야마모토 도시마사 이사장은 2024년 9월 10일, 서울시청 다목적실에서 개최된 한국YMCA전국연맹 창립 110주년 기념식에서 1913년 일본YMCA가 한국YMCA(당시 황성기독교청년회)를 예속시키려한 것과 일제의 식민지 정책을 승인하고 지지한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사과하는 메시지를 발표하였다.
이번 야마모토 도시마사 이사장의 사과 발언은 '일제 강점기 일본YMCA에 의해 행해진 구체적 사건을 명시하고, 사과 주체로 '일본YMCA'를 명확히 한 것'에 그 의미가 남다르다.
이것은 한•일YMCA의 오랜 기간에 걸친 노력과 신뢰에 기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일YMCA 교류의 역사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 : '한·일YMCA 교류의 역사'(2004, 한일YMCA 공동편집, 윤경로 집필)
한국YMCA전국연맹과 일본YMCA동맹의 시작
□ 한국YMCA전국연맹
▷ 1890년대 무렵, 북미YMCA 국제위원회에서 학생YMCA 출신 선교사 7명(일본 46명, 중국 69명)을 한국에 파견
- 게일(J.s. Gale, 1888년 내한, 카나다 토론토대학교YMCA 출신), 하디(R.A. Hardie, 1892년, 카나다 토론토 의과대학) 등
▷ 1895년 배재학당, 협성회 운동
▷ 1896년 독립협회운동
▷ 1899년 YMCA 설립청원운동
▷ 1901년 배재학당YMCA 창립
▷ 1903년 황성기독교청년회 창립
▷ 1906년, 재일본한국YMCA 창립(이사장 조만식, 총무 김정식)
▷ 1912년 12월, 한국중국홍콩 전체위원회 탈퇴 (중국YMCA 대회 결의)
▷ 1913년 4월, 일본YMCA동맹에 귀속 (6개항 합의)
▷ 1914년,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 창립 (자치권 확보) : 1개 시청년회와 9개 학생Y 청년회
- 학생Y : 배재학교, 경신학교, 세브란스의전(이상 서울), 한영서원(현 송도고교), 전주 신흥학교, 군산 영명학교, 광주 숭일학교, 중앙청년회(기청)학관, 재일본한국Y
▷ 1922년, 1913년 6개 협정안 폐기, 완전한 독립성 확보
▷ 1924년, 세계YMCA동맹, WSCF에 독자적으로 가맹
□ 일본YMCA동맹
▷ 1880년, 동경기독교청년회(동경YMCA) 창립
▷ 1887년, 하와이 일본인YMCA 설립
▷ 1898년, 대만 일본인YMCA 설립
▷ 1901년, 일본 시YMCA동맹 결성(7개 지역YMCA)
▷ 1897년, 일본 학생YMCA동맹 결성(5개 학생Y), WSCF 가입
▷ 1903년, 일본YMCA동맹 결성 (일본 시YMCA동맹 + 일본 학생YMCA동맹)
* 일본 YMCA운동은 기독교 사회운동이라기 보다는 사상운동 또는 정신운동으로 시작
1913년 유신회 사건과 1914년 조선기독교청년회(YMCA)연합회 창립
- 일제의 한국YMCA 예속화 시도와 독립성 확보를 위한 노력
1913년 유신회(維新會) 사건은 일본 組合교회와 총독부, 일본인 경성YMCA와 일본YMCA동맹 등의 협력을 배경으로 1913년, 한국YMCA 부총무 김린이 매수되어(수동적 관점, 주동적 관점은 친일매국의 적극화) 친일세력으로 유신회를 조직, 개혁을 명분으로 내세우며 한국YMCA를 일본YMCA에 예속시켜려 한 사건이다.
이러한 흐름은 일본 조합교회가 1904년 러일전쟁 이후 이후 본격적으로 일제의 식민 정복의 첨병으로 역할하기 시작하면서 한일YMCA에도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1907년, 일본인 경성YMCA 창립을 전후로 한국YMCA에 대한 일본YMCA로의 귀속 당위성(외국 선교사로부터의 독립 등)이 일본YMCA와 일본인 경성YMCA, 그리고 일본에 머물고 있던 북미YMCA 국제위원회 피셔(일본YMCA 간사)등에 의해 공공연히 주장되었고, 1910년 이후 이를 위한 작업이 일본 조합교회와 총독부 등의 협력으로 본격화된다. 유신회는 1913년, 한국YMCA 건물에 새겨진 皇城이라는 단체명을 쪼아버리기도 한다.
한국YMCA는 이에 대항하기 위해 1913년 이사회와 회원대회 등을 통해 김린 부총무를 제명하고, 1914년 4월(2일~5일), 개성 한영서원에서 1개 시청년회(황성기독교청년회,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로 1913.6. 개명, 현 서울YMCA)와 9개 학생YMCA 대표 45명이 모여 전국조직으로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현 한국YMCA전국연맹)'를 창립하게 된다.
이로써 일제 강점기 民의 단체들이 해산되는 상황에서도 한국YMCA운동이 스스로를 통제, 관리할 수 있는 자주·독립성을 불안정하게나마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존·알 모토를 중심으로 한 북미위원회와 한국YMCA(이상재, 신흥우, 언더우드, 에비슨), 일본YMCA동맹 간의 6개항에 대한 합의(아래 자료 참고)로 확인된다(1913년 4월12일 합의, 일본YMCA동맹은 1916년, 제5차 총회에서 이를 통과시킨다) 이 합의 이전에 황성기독교청년회가 소속되어 창립 과정을 지원했던 한국•중국•홍콩전체위원회에서의 한국YMCA 탈퇴/단절 결의가 1912년, 중국YMCA 전국대회에서 있었다.
1913년, 북미/한국/일본YMCA 간 6개항에 걸친 합의가 가능했던 원인으로 김천배 선생님은 한일YMCA운동 지도자들 사이의 인격적 관계와 기독교 신앙에서 찾고 있다(한국YMCA운동사). 그러나 이것은 한국YMCA가 그동안 후원협력 관계를 맺어왔던 중국YMCA(한•중•홍전체위원회)와의 단절과 일본YMCA의 한국YMCA에 대한 간섭과 관여가 가능한 근거를 제공하며 예속의 틀을 합법화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당시 한국YMCA를 일본YMCA로 예속시키고자 했던 일제의 압박으로부터 한국YMCA의 독립성(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 창립)을 지키기 위한 당대 지도부의 현실적인 타협안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러나 한국YMCA 지도부에 의해 '한•일YMCA 간 동맹을 규정했던 1913년 협정 6개항'에 대한 지속적인 문제제기(정신이 조문(條文)에 희생되어야 하느냐, 아니면 조문이 정신에 희생되야 하느냐?)가 있었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22년 5월16일, '한•일YMCA 대표자회의'가 요코하마에서 개최된다. 한•일YMCA 대표자 회의는 북미YMCA 국제위원회 존·알 모토의 사회와 중재로 1913년에 합의된 6개항을 취소/폐기할 것을 큰 이견없이 만장일치로 결정하게 된다(5월18일 서명, 한국측 대표 : 이상재, 윤치호(대표단 대변인), 신흥우, 브로크만).
한국YMCA는 이를 통해 형식적인 조문 규정에서도 실질적인 독립성을 확보하게 된다(아래 자료 참고, 세계Y 단독 가맹, 학생Y WSCF 단독 가맹). 이로써 한국YMCA는 태어나면서 일제에 예속되거나 사라질 수 있었던 운명을 극복하고, 2024년 현재, 110주년을 맞이하게 되었다.
1913년 한•일YMCA 6개항 합의 (일본YMCA로의 예속화 합법화, 자치권 보장)
- 1913년 4월 12일, 동경
1.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 위원은 15명으로 구성되며, 조선에 있는 모든 조선인 청년회를 관리한다. 본 연합회 위원 중에서 선정된 5명의 위원은 일본기독교청년회동맹의 위원이된다.
2. 일본기독교청년회동맹 위원은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와 기타 조선에 있는 각 청년회의 자치를 인증한다. 다만, 일부 도시 내의수 개의 기독청년회가 연합괴어도 무방하다.
3.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는 그 회원 중에서 선출된 이사들이 이를 관리한다.
4.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가 소유하는 모든 건축물은 그 건축기금을 기부한 사람들의 뜻에 따라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가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가 아닌 다른 청년회의 사용과 보관은 조선기독교청년연합회 위원이 한다.
6. 일본기독교청년회동맹 대표 위원과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 대표 위원간에 체결된 본 계약은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 위원의 2/3 이상의 동의없이는 변경할 수 없다.
1913년 6개항 협정 폐기 (내용과 형식 양 측면에서의 실질적인 자주성, 독립성 확보)
- 1922년 한•일YMCA 대표자회의, 1922년 5월 16일 결정, 5월 18일 서명
"우리 모두의 서명자들 즉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 연합위원회 대표들과 일본기독교청년회동맹의 대표들은 일본인과 한국인 청년회에 여러 단체의 상호협력관계를 증진시키는 문제에 관하여, 서로 기도하며 장시간 동안 진지한 논의를 거듭한 끝에, 1913년 4월 12일자 동경회의에서 양측 위원회의 정식 대표에 의하여 체결된 협정을 폐기하기로 만장일치로 결의하고 이를 해당위원회에 각각 건의한다. 이 건의안을 작성하는데 있어서 우리는 해당 위원회들이 본 회의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발표하기를 바라는 바이며, 어떠한 정치적 의도도 개재되지 않고 시행되기를 바란다..."
1924년 세계YMCA동맹, WSCF 가맹(세계와 독립적으로 소통하는 창구로 기능)
이 건의안(1922년 한•일YMCA 대표자회의 합의안)은 1923년 한국YMCA연합회 제3차 3년총회에 보고되었고, 1924년 7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YMCA 세계연맹회의에서 통과되었다, 이로써 한국YMCA는 단독으로 세계연맹에 가입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YMCA도 1922년 4월, 북경에서 열린 WSCF 대회에서 독립을 인정받아, 1924년 영국 하일리에서 열린 세계기독학생회연맹(WSCF) 총회에 참석하여(신흥우) 한국YMCA와 YWCA의 학생부를 독립된 단체로 등록하게 된다.
한국YMCA, '일본기독교청년회 조선연합회'로의 흡수, 예속화 (한국Y 기능과 역할 상실)
- 1938년 10월 14일
▷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 실행위원회 (1938년 6월 7일)
"조선에 있는 기독교청년회는 연합단체로서 일본기독교청년회동맹과 세계학생기독교연맹에서 탈퇴하고, 또한 동 청년회가 북미기독교청년회동맹과의 관계를 끊고, 금후 외국과의 관계는 전적으로 일본기독교청년회동맹에서 이를 관장한다." 는 등 3개항 결의, 일본기독교청년회 동맹에 가맹 신청하기로 함.
▷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 제9회 정기대회 (1938년 8월 9일)
1) 조선YMCA연합회는 일본YMCA동맹과 통합하고, 국제관계는 모두 후자에게 일임한다.
2) 새 조선YMCA연합회 헌장 또는 규정을 채택한다.
3) 5인 위원회를 구성해 새 위원회가 구성될 때까지 모든 사무를 처리케하며, 별도의 대회를 소지하지 않고 5인 위원회가 각 지역YMCA에서 추천된 새위원회 위원들을 인준하게 한다.
▷ 제1회 일본기독교청년회 조선연합회 연합위원회 개최 (1938년 10월 14일,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관)
한국YMCA가 1922년 일본YMCA동맹으로부터 독립하여, 1924년 직접 세계YMCA동맹에 가입됐던 것이 취소됨. 한국YMCA 기능과 역할 상실됨.
일본기독교청년회 조선연합회 가입청년회
▷ 도시청년회 : 조선중앙, 경성, 선천, 원산, 함흥, 광주, 대구, 신의주, 평양, 김천, 전주 등 총 11개 기독청년회
▷ 학생청년회 : 경성제국대학, 경성제국대학 예과, 경성의학전문학교, 경성고등상업학교, 경성고등공업학교, 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 연희전문학교,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감리교회신학교, 배재중학교, 신성학교, 송도중학교, 광성중학교, 숭인상업학교, 부산제일상업학교, 경신학교, 영명실수학교 등 총 17개
* 대부분의 도시청년회는 '자진해산'의 길을 걷게되고 서울YMCA(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만 남게되며, 서울YMCA는 1도시 1YMCA 원칙에 따라 일본인들의 경성YMCA '종로지회'로 전락.
재일본한인YMCA(동경조선기독교청년회), 예속과 독립
- 1938년 10월, 일본YMCA 산하로 재편 (한국YMCA와는 별개의 독립단체화)
▷ 1946년, 재일본조선기독교청년회(10.26)로, 1948년 '재일본한국기독교청년회'로 개칭
▷ 1949년, 재일본한국YMCA, 일본YMCA 동맹에 가입, 1951년 승인(일본YMCA 동맹 제9회 상무위원회)
▷ 1956년, 창립 50주년 기념행사 개최
▷ 1971년, 관서지회 설립 후 1974년 관서한국YMCA로 독립(1980년 오사카에 회관 건립)
▷ 1974년, 재일한국YMCA 이사회 회관 신축 결의
▷ 1975년, 동경한국YMCA 창립 (재일본한국YMCA 산하에 두 개의 지역YMCA)
▷ 1976년, 재일본한국YMCA 재건위원회 구성(일본Y, 한국Y 등 재건 위원 14명 위촉)
▷ 1976년, 제일본한국YMCA 장기 계획안 : 한일양국의 이중성을 통합하여 세계에 기여. 한국Y와 일본Y와의 관계성과 독립성이라는 독특한 지위와 역할 인정
▷ 1977년, 재일본한국YMCA, 일본YMCA동맹, 동경YMCA 합의각서 작성
▷ 1978년, 서울YMCA, 한국YMCA가 중심이 되어 회관 건축 주장(“국가적 위신을 고려한 자주성 확보, 둘째는 재산 소유권을 둘러싼 분쟁의 미연 방지), ‘재일본한국YMCA회관 건축추진기성회’ 구성
▷ 1980년, 한일YMCA 제4차 협의회에서 재일한국YMCA 문제는 양국 간의 공동 책임에 속함을 확인(1980년 10월 15~17, 서울 크리스챤아카데미)
▷ 1981년, 한일YMCA 협의로 ‘재단법인 YMCA 아시아청소년센터’로 새 회관 명칭 결정하고 운영방침에 합의. 여기에서 밝힌 재일한국YMCA와 YMCA아시아청소년센터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1) YMCA 아시아청소년센터는 한일YMCA의 공동프로그램으로 이해한다. 2) YMCA아시아청소년센터의 기본 성격은 ‘재일본한국YMCA의 장기계획의 기본 방침’과 일본YMCA동맹의 상무위원회에 제출한 ‘YMCA 아시아청소년센터 설립의 의의와 목적에 관한 일본YMCA동맹의 견해와 기대’의 내용에 입각하여 작성한다.”
▷ 1982년, 2·8독립선언운동기념비 건립(2.8, 건물 앞, 재일본대한민국청년회/재일본대한민국학생회/재일본한국청년상공인엽회 등과 공동으로)
▷ 1984년, 2·8독립선언 65주년 기념식(새 회관 개관)
한일YMCA 교류 재개
▷ 1948년 WCC 제 1회 대회(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양국YMCA 대표, 비공식 회담/접촉
- 1949년, 재일본한국YMCA가 일본YMCA 동맹에 가입하는 기반이 돰
▷ 1961년, KSCC협의회에서 양국YMCA 지도자 처음 만남(양국 학생YMCA와 SCM 관계자 참석, 한국 인천, 주제 和解)
▷ 1962년, 지역 YMCA 교류 시작 (자매 결연) : 부산YMCA-후쿠오카YMCA(1962년), 부산YMCA-북큐슈YMCA(1963년), 서울YMCA-나고야YMCA(1964년)
▷ 1962년, 고등학생 상호교환 프로그램 합의 : 1963년 나고야YMCA 고등학생 4명, 한국 처음 방문
▷ 1965년, 일본기독교단 총회 의장, 한국기독교장로회 제50차 총회 참석하여 사과
▷ 1967년, 일본기독교단 '제2차대전 하 일본기독교단의 책임에 대한 고백(전쟁책임고백)' 발표
▷ 1967년, 일본YMCA동맹 제5회 국제사업위원회, 한국YMCA와의 교류원칙에 관한 각서 승인
▷ 1974년, 한일YMCA정기협의회 (교류사업협의회 / 국제협력사업위원회 등으로 불리기도 함) 구성 및 운영 (격년), '한•중 / 한•일YMCA 연락협의회'라는 이름으로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 1977년, 양국YMCA 간 실무자 (간사 및 일반직원) / 유지지도자 교류에 관한 방침 정리 (제2차 한일YMCA 협의회)
- 간사회 교류, 양국 AOS 총회 초청 및 참석 / 지역YMCA 간 실무자 교류는 1960연대(1967년)부터 시작
▷ 1977년, 청년들의 교류 필요성 제안, 특별행사 상호 초청 등(제2차 한일YMCA 협의회, 이후 매 협의회에서 논의)
▷ 1980년 대 이후 양국YMCA 농촌 지도자 교류 (한국은 거창, 홍성Y 중심)
▷ 1982년 부터 비정례적인 청년지도자 및 청년회원 상호 방문 프로그램 진행
▷ 1982년, 일본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 왜곡에 대한 공동대응(9월 7일, 대한YMCA연맹 전국대표자 긴급회의 개최, 일본기독자 중·고 교사회 전국협의회 참석(이재원, 유상덕, 신정식) 등)
▷ 1985년, 제6회 한일YMCA 정기협의회, 재일한인들의 법적 지위와 지문날인제도에 관한 공동결의문 채택(1985, 9.10~12, 경주)
▷ 1991년, 한일 학생YMCA 정례교류 프로그램 시작 (일본 대학Y 회원, 한국 방문)
▷ 1994년, 대한YMCA연맹 80주년 기념식에 참가했던 가미야마 일본YMCA 재단 이사장 일제 식민지 정책 잘못 사과
"일제 식민지화는 우리나라의 잘못으로 빚어진 역사적 사실로써 한국인 모두에 떨쳐버릴 수 었는 깊은 상처를 남긴 불행한 일"(한국YMCA 소식지, 1994. 6월호, p 15)
▷ 1995년 한국해방/일본패전 50주년을 맞아 '한•일YMCA 역사세미나(심포지엄)' 개최(2000년까지 4차례 진행)
▷2002년, 일본'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공동 대응 (7월 4일, 한일연락위원회,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에 관한 결의문' 발표)
▷ 2004년, '한•일YMCA 교류의 역사(1905~2002)' 발간 (윤경로 집필)
- 4차례의 걸친 '한•일YMCA 역사세미나(심포지엄)'의 성과를 토대로 한•일YMCA 공동 발간하고 양국 간사학교에서 이 내용을 교육하기로 합의.
- 일본YMCA동맹은 이 책이 발간된 다음 해인 2005년부터 매년, 일본YMCA 간사학교 커리큘럼으로 '한일YMCA 교류의 역사'를 채택하여 교육하고 있다. 한국은 X.
▷ 2004년부터 현재까지, 한•중•일 삼국의 평화협력과 청년 평화 리더십 육성을 위한 '한•중•일 평화포럼'이 격년으로 개최되고 있다.
▷2024년, 일본YMCA동맹 야마모토 도시마사 이사장 일제 강점기 식민정책과 YMCA 예속화 시도 사과 (한국YMCA전국연맹 창립 110주년 기념식, 9월 10일, 서울시청 다목적실)
“역사를 되돌아보면, 1913년에 일본 식민지 통치 하에서 한국YMCA를 일본 YMCA에 귀속시키려 한 사실이 있으며, 우리는 이를 고통스럽게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시 일본YMCA가 식민지 정책을 승인하고 지지했던 것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하고 회개합니다.”
일본YMCA동맹의 1913년 한국Y 강제 귀속 및 일제 식민 정책 지지 사과 의미와 역사적 배경 (한국YMCA전국연맹 창립 110주년 기념 축사) https://yunheepathos.tistory.com/2450
<참고도서 및 자료>
'한일YMCA 교류의 역사(1905~2002)' 소개
집필 책임/윤경로 교수(한성대 사학과)
2004년 8월 초판 발행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고자 하는 선교목표 아래 한국YMCA와 일본YMCA는 지난 100년 동안 두 나라 YMCA 사이에 있었던 특수한 교류관계를 되돌아보면서 새로운 세기, 새로운 운동을 시작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일YMCA 교류사를 편찬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 책을 통하여 한국과 일본YMCA의 미래 세대들이 평화로운 동북아시아를 만들어 가는데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목차>
Ⅰ. 대한제국기 한일 YMCA의 관계(1905~1910)
1. 한일 YMCA의 창립과 교류
⑴ 東京YMCA와 皇城YMCA의 창립 동경YMCA의 창립
⑵ 東京韓人YMCA와 京城日本人YMCA의 창립 東京韓国人YMCA의 창립 京城日本人YMCA의 창립
(3) 한일YMCA의 교류와 갈등 한일YMCA의 교류 한일YMCA의 갈등
2. 황성YMCA의 민족운동과 일제의 대응
⑴ 황성YMCA의 항일운동과 일제의 인식
⑵ 통감부시기 일제의 기독교 정책과 '조선전도론'
Ⅱ. 일제강점기 한일 YMCA의 관계(1910~1945)
1. 1910년대 한일 YMCA의 관계
⑴'한일합방'에 대한 일본 기독교인들의 반응
⑵ ‘한일합방’ 직후 한국 YMCA 인사들의 일본 방문
⑶'105인사건'과 윤치호의 구속
⑷ 일제의 한국 YMCA 분열 공작과「유신회사건」
⑸ 한국 YMCA의 명칭 변경과 헌장 개정
⑹ 동경 한인 YMCA와 2.8 독립선언
⑺ 3.1운동과 한일 YMCA
⑻'여운형사건'과 한중일 YMCA
2. 1920년대 한일 YMCA의 관계
⑴ 1922년 한일 YMCA 대표자회의와 양국 YMCA의 분리
⑵ 재일한인 YMCA의 시련과 회관 신축
⑶ 이순기의 일본 YMCA 방문기
⑷ 일본인 경성YMCA의 발전
3. 1930~40년대 한일 YMCA의 관계
⑴ 일제의 전시체제의 강화와 한국 YMCA에 대한 탄압
⑵ 한국 YMCA 지도자들의 훼절과 친일 단체의 조직
⑶「일본기독교청년회 조선연합회」의 성립과 이후 변화
(4) 일본인 경성YMCA의 발전
Ⅲ. 해방,종전~현재(1945~2002)
1. 한일 YMCA 관계의 단절과 회복
⑴ 1945년 해방․종전과 한일 YMCA 관계
⑵ 1965년「韓日国交正常化」, 1967년「戦争責任告白」
2. 한일 YMCA 교류의 활성화
⑴ 한일YMCA 정기협의회와 연락위원회 설치
⑵ 한일 YMCA간 Partnership․Linkage 체결
⑶ 청소년 교류
⑷ 청년 교류
⑸ 실무자 교류
⑹ 유지지도자 교류
⑺ 농촌지도자 교류
(8) 스포츠 교류
(9) 한일 YMCA와 재일본한국인YMCA간 교류
3. 재일본 한국YMCA의 발전과 한일YMCA
(1) 해방직후 재일본YMCA의 시련과 극복
(2) 관서 한국YMCA와 동경한국YMCA의 창립
(3) 아시아 청소년센터의 건립과 국제교류의 활성화
4. 왜곡된 역사와 부당한 차별을 바로 잡기 위한 공동노력
(1) 불행한 역사청산을 위한 한일YMCA의 결의
(2)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한 양국 YMCA의 대응
(3) 재일 한인들의 인권신장을 위한 양국YMCA의 노력
<참고 관련논문>
'에큐메니컬, YMCA > YMCA'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세계YMCA-YWCA 국제친선 공동기도 주간 자료 안내- "영성의 믿음으로 변화를 위해 행동하자!" (0) | 2024.10.22 |
---|---|
세계YMCA 180주년 영상 (1) | 2024.10.14 |
배현주 교수 주제강연, '회심하여 정의로운 전환으로'(제47차 한국YMCA 전국대회) (0) | 2024.09.11 |
일본YMCA동맹의 1913년 한국Y 강제 귀속 및 일제 식민 정책 지지 사과 의미와 역사적 배경(한국YMCA전국연맹 창립 110주년 기념 축사) (3) | 2024.09.11 |
APAY 베트남 PSG 회의(2024.8.26. 16:00) (0) | 2024.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