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큐메니컬, YMCA703

김관석평전 '자유를 위한 투쟁'(김흥수 씀) 출판기념회에서.. 구름에 가렸어도, 햇빛이 들어도 어떤 미동도 없이 그대로 자리를 지키는 산. 운산. 장공 김재준 목사님이 호를 지어주었다는 김관석목사님의 호. 누가 말하듯 바지 사장처럼 NCC 총무로 12년 동안을 재임하며 겉으로 드러남이 없이 70년대 민주화운동과 인권운동의 버팀목으로 살아가셨던 분.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오로지 일하는 사람들을 연결하고 지지하며 돕고 협력하는 일에 몸을 숨기셨던 분. 연대와 협력이 운동을 만들어가는 것이라 믿으셨던 분. 그래서 쉽게 눈에 띄지도, 누구처럼 거목으로 평가받지 못했던 분이었지만 자신의 이름과 자기 조직이 우선이어야하는 지금의 운동현장에서 연대와 협력의 코디네이터로서 갖는 그의 삶이 더 큰 의미를 발하고 있는지 모른다. 나는 한번도 그를 대면한 바 없지만 선배들에게 듣는 그.. 2017. 6. 23.
예수 그리스도의 참된 교회 회복을 위하여 : 종교개혁, 루터, 에큐메니성 예수 그리스도의 참된 교회 회복을 위하여 : 종교개혁, 루터, 에큐메니성Kung Lap Yan (龔 立人) / 홍콩 중문대 교수 * 이 글은 APAY에서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발간한 "Revisiting the Reformation"에 실린 홍콩 중문대 Kung Lap Yan (龔 立人) 교수의 글 "Reclaiming the True Church of Jesus Christ: The Reformation, Luther and Ecumenicity"을 번역한 것입니다. 개인 공부를 위해 번역한 것이라서 번역이 엉성합니다만, 신학 비 전공자들과 에큐메니즘에 대해 관심하는 분들의 이해를 돕고자 올렸습니다. 이 글은 루터의 교회관과 신앙과 봉사의 이해, 3S(Sola) 그리고 복음과 에큐메니즘.. 2017. 4. 27.
‘종교개혁과 YMCA운동 - YMCA운동은 제2, 제3의 종교개혁운동이다’ 이 글은 서광선 박사님께서 아시아태평양YMCA(APAY) 사무총장, 실행이사회 연석회의(2017. 3.)에서 “A Contemporary Mission of APAY in the Spirit of the Reformation”라는 제목으로 발표하신 원고를 ‘종교개혁과 YMCA운동 - YMCA운동은 제2, 제3의 종교개혁운동이다’라는 제목으로 번역한 것입니다. 종교개혁과 YMCA운동의 시대적, 정신사적, 운동사적 맥락과 연관성을 이해하는데 매우 소중한 글이라 생각되어, 종교개혁과 에큐메니컬 YMCA운동의 이해를 돕고자 번역하였습니다.서광선 박사님은 종교개혁운동과 에큐메니컬운동으로서 YMCA운동의 시대적 배경과 정신, 그 특성들을 일별하면서 YMCA운동의 ‘파리선언’을 제2의 종교개혁운동으로 규정하고 세계Y.. 2017. 4. 22.
YMCA 파리기준(Paris Basis) Paris Basis - 1855 The continuing basis of the work and witness of the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is expressed in the Paris Basis, as adopted by the delegates of the First World Conference in Paris in 1855, and reaffirmed by the 6th World Council of YMCAs in 1973: “The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s seek to unite those young men who, regarding Jesus Christ as their God and Saviour, ac.. 2017. 4. 22.
YMCA 캄팔라원칙(The Kampala Principles) The Kampala Principles - 1973 The 6th World Council meeting in Kampala, Uganda, in July 1973, adopted at the same time the following declaration of principles: The Paris Basis expresses that Christ is the centre of the Movement, which is conceived as a world-wide fellowship uniting Christians of all confessions. It is consistent with an open membership policy, involving people irrespective of fa.. 2017. 4. 22.
세계Y 미션선언문, 도전21(Challenge21) 도전21(Challenge21) 『도전 21』은 새 천년에 예상되는 구체적인 필요와 가능성에 의거하여 YMCA가 감당해야 할 책임을 의미한다. 『도전 21』의 잠재적인 의제 및 기본방향은 YMCA를 광범위한 사회적 상황과의 연관성 속에 자리매김케 한다. 『도전 21』은 의식적으로 목적문이라고 명시하지 않았다. 목적문은 이를 모색하는 더 계속되는 과정의 결과로서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그 때까지 당분간 우리는 을 YMCA목적문의 근거로 유지하면서, 『도전21』을 현시대에 YMCA사명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기 위한 진일보한 문서로서 이해하고자 한다. 현시대가 더욱 복잡해짐에 따라 우리는 시대의 부름에 응답하는 동시에 우리의 근거에 더 깊이 뿌리내릴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세 번째 천년을 맞이하.. 2017. 4. 22.
YMCA '비전 선언문'의 이해 : “새 하늘 새 땅, 만물을 새롭게!” 4. '비전 선언문'의 이해 : “새 하늘 새 땅, 만물을 새롭게!” '비전 선언문'에서 밝히고 있는 한국YMCA의 신앙적 비전은 지난 100년 동안의 회고와 앞으로의 100년에 대한 전망에서 나온다. 회고와 전망을 연결하는 공통점은 ‘종말적 위기’다. 한국YMCA는 이 땅이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하던 ‘종말적 위기’ 속에서 탄생했으며, 지금 우리는 또한 새로운 100년을 다시금 깊은 ‘종말적 위기’ 속에서 맞이하고 있다. 지금 전 지구적으로 드러나고 있는 총체적인 생명의 위기는 과연 지금의 인류문명이 존속 가능한 것인지 근원적으로 묻고 있다. 이러한 위기를 오히려 변혁의 기회를 주시는 ‘은총의 시간’(카이로스)으로 인식하며 한국Y는 자신의 신앙적 비전을 밝히고 있다. 1) 한국YMCA 역사 인식 “한국기.. 2017. 4. 13.
한국YMCA 아카이브의 필요성, ‘운동은 기록이고, 기록이 운동이다.’ 7. 한국YMCA 아카이브 운영 1) 한국YMCA 아카이브의 필요성, ‘운동은 기록이고, 기록이 운동이다.’ YMCA 운동은 정리되고 기록되어 남겨져야 한다. YMCA가 많은 일들을 함에도 불구하고 형식화된 사업보고서 이외에 회의 자료나 평가 자료, 그리고 이에 기초한 의제 정리 문서가 대단히 부족하다. YMCA는 보통 안 해본 일이 없다고 한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자료를 찾기는 대단히 어렵고 대신, 주관적인 평가에 기초해 전해지는 선배들의 주장이 다반사인 경우가 많다. YMCA운동이 1세기를 마감하고 새로운 세기를 시작하며, YMCA운동은 ‘운동을 만드는 운동’, ‘조직을 만드는 조직’, ‘사람을 키우는 조직’이라 스스로 평가하고 있음에 비해, 공적 자산으로서 YMCA에 의해 생산된 자료의 정리와 보.. 2017. 4. 13.
제3기 YMCA운동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 : 우리의 생수는 우리의 우물에서 3. 제3기 YMCA운동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 : 우리의 생수는 우리의 우물에서 제3기를 시작하는 시점의 YMCA운동은 대단히 어려운 상황이다. 2003년과 2015년, 연맹 리더십을 세우는 과정에서 드러난 YMCA 내부의 지역별, 그룹별, 세대별, 운동 영역별로 잠재되어 있던 갈등의 골이 극명하게 드러나기도 했다. 이러한 갈등은 수면 아래에 가라앉은 채 전국운동의 통합을 가로막는 힘으로 작동할 것이다. 제3기의 새로운 문을 열수 있을 것인가? 한국YMCA운동은 현재 혁신과 변화의 도전에 직면해 있다. YMCA 생명평화운동은 이런 상황을 극복하고 시대에 응답하기 위한 YMCA운동의 개혁과 새로운 비전을 찾기 위한 노력이자, 하나의 화두일 것이다. '개정 목적문'과 '비전 선언문'이 전국Y와 회원들 .. 2017. 4. 13.
YMCA 선교신학 정립의 필요성 : YMCA 선교신학은 운동론이자 조직론이며, 실천론. Ⅲ장. 제3기 한국YMCA 생명평화운동 이해 : YMCA 선교신학의 실천적 모색 1. YMCA 선교신학 정립의 필요성 : YMCA 선교신학은 운동론이자 조직론이며, 실천론. 지금까지 YMCA운동을 사회운동과 이념 추구로 역사를 정리했다. 이것은 결국 YMCA운동 선교신학의 역사적 맥락을 정리해 봄으로써, 제3기 생명평화운동이 YMCA 선교운동으로 적합한지에 대한 토론을 위한 과정이다. Y운동은 신학하기를 멈춰서는 안 된다. YMCA 신학은 YMCA 신학운동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삶의 언어이자 질서이고 신앙과의 긴장이어야 한다. 현실 세계를 보는 시좌이자 푯대이고, 방향이어야 한다. YMCA 선교신학은 추상적 명제로서가 아니라, YMCA운동의 역사와 사회적 조건, 당면한 과제, 그리고 운동 주체의 관점이 .. 2017.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