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팔레스타인/팔레스타인과 한반도 평화112

팔레스타인 공부모임(8월 9일, 오후 2시) 팔레스타인 공부모임 -. 8월 9일(월) 오후 2시 -. 한국YMCA전국연맹 회의실(지하 2층) -. 강사 : 김용복(생명학연구원원장, YMCA 생명평화센터고문) -. 참가자 : 원하는 사람 누구나. -. 참가비 : 없음. 이 모임은 8월 31일부터 진행되는 팔레스타인 평화순례를 위한 사전 공부 모임으로 팔레스타인에 대한 역사, 정치, 경제, 문화와 현지 단체들에 대해 배우고 개신교가 갖고 있는 잘못된 신학적인 관념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룰 예정입니다. 2010. 8. 5.
팔레스타인과 한국은 세계 평화의 질서를 만드는 땅, 그래서 우리는 만난다. "팔레스타인 해방신학"을 함께 번역, 출판하실 분을 찾습니다. 한국사회에서는 팔레스타인의 문제를 기독교(또는 유대교)와 이슬람의 종교문제로 이해하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선한 기독교 세력으로써 이스라엘 세력과 다른 한편으로 악의 세력인 이슬람 세력과의 질 수 없는 싸움. 이것은 한국 종교인들 중 기독교 - 개신교와 카톨릭, 잘못된 "하나님이 주신 약속의 땅 팔레스타인"과 "선민 의식"에 찌든 기독교 -가 많은 인구를 차지하고 있고, 이슬람에 대한 잘못된 생각 - 폭력적이고 심지어는 야만적이기까지, 테러세력은 이슬람 - 이 일반적인 한국 사회에서는 어쩌면 당연(?)하기도 한 것 같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우리는 뿔달린 북한에 대한 이미지와 함께 다른 한편으로는 물 한방물 없는 땅에서 꿈의 농장을 일궜다는 키부츠 공동체와 총을 든 멋드러진 젊은 여성들의 모습은 국가 안.. 2010. 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