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없는 세상99 안전한세상을위한신고리5,6호기백지화시민행동 논평, 공론화위가 시민참여단 합숙토론 전에 풀어야 할 과제 안전한세상을위한신고리5,6호기백지화시민행동 논평 공론화위가 시민참여단 합숙토론 전에 풀어야 할 과제 정부의 공사중단 시 지원방안 / 편향된 검증위원 위촉 / 한국경제 자료집 보도 안전한세상을 위한 신고리5,6호기 백지화 시민행동(이하 신고리백지화 시민행동)은 그동안 성명서와 논평, 공론화위원회에 보낸 공문을 통해 공론화 진행과정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공론화위원회의 책임있는 답변을 촉구해 왔다. 하지만 공론화위원회 마지막 프로그램인 시민참여단의 합숙토론을 4일 앞둔 현재까지 해결되지 않는 것들이 있어 공론화위원회에 책임있는 답변을 촉구한다. 먼저, 우리는 그동안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시 지역주민, 노동자, 관련 업체에게 피해가 가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에 대한 대책을 정부가 먼저 밝힐 것을 .. 2017. 10. 10. Conference on Korea crisis strengthens resolve to avoid nuclear war(WCC) Conference on Korea crisis strengthens resolve to avoid nuclear war Rev. Frank Chikane. © Peter Williams/WCC 09 October 2017 "The world must listen to the people of Korea. They do not want war. They want peace.” Those are the words of Rev. Frank Chikane, moderator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Commission of the Churches on International Affairs (CCIA), as he reflected what was on the mi.. 2017. 10. 9. '핵무기폐기국제운동(ICAN)'의 노벨평화상 수상 환영 논평 평통사의 논평입니다. 깊이와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 '핵무기폐기국제운동(ICAN)'의 노벨평화상 수상 환영 논평 우리는 올해 7월 7일 유엔총회에서 채택된 '유엔 핵무기 금지협약'의 성안을 주도한 ‘핵무기폐기국제운동(International Campaign to Abolish Nuclear WeaponsㆍICAN)’이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된 것을 환영한다. ICAN은 101개국의 468개 연대 단체가 활동하는 국제 비정부기구(NGO) 연합체로서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이 공동성명 등을 통해 완강히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불평등한 핵확산금지조약을 대체하는 역사적인 핵무기금지조약을 성사시키는데 크게 공헌했다. 193개 유엔 회.. 2017. 10. 7. 신고리 5, 6호기 백지화 한국교회 목회자 선언 탈핵 세상을 향한 한국교회 목회자 선언 - 신고리 5, 6호기 백지화 선언 “나는 오늘 하늘과 땅을 증인으로 세우고, 생명과 사망, 복과 저주를 너희 앞에 내놓았다. 너희와 너희의 자손이 살려거든, 생명을 택하여라.”(신 30:19) 2011년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의 충격으로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은 핵 없는 세상을 위해 행동할 것을 선언했다. 창조주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던 지구 생태계가 끔찍한 파멸을 향해 추락하는 현실을 보며 창조 질서를 보전해야 하는 청지기로서의 사명을 되새긴 것이다. 오늘 생명의 질서를 위협하는 여러 요소 중 가장 파괴적인 물질이 바로 ‘핵’이다. 우리는 이미 핵을 ‘따먹으면 정녕 죽는 죽음의 열매’로 규정하고 타협 없는 핵과의 싸움을 선언했다. 특히 전쟁이라는 특수 상황을 전제하.. 2017. 9. 29. 핵없는 세상을 위한 한국YMCA 회원 밴드 참여 안내드립니다. '핵없는 세상을 위한 한국YMCA 위원회' 밴드가 2015년부터 운영되고 있습니다. 2015년 위원회가 구성되면서 개설되었던 밴드였습니다만, 그동안 위원회 활동이 정체되면서 운영이 원할하지 못했습니다. 다시 핵관련 정보를 나누고 지역 소식을 나누기 위해 운영을 시작합니다. YMCA 회원이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합니다. 핵없는 세상을 위한 YMCA 평화운동의 활동을 나누고 지혜를 모으기 위한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참여와 안내를 부탁드립니다. 핵없는 세상을 위한 한국YMCA 회원 밴드 참여 하기 2017. 9. 27. (참여 안내)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목회자 선언 발표 기자회견 "핵과 기독교 신앙은 양립할 수 없습니다." - 일시 : 2017년 9월 29(금) 오전 11시 - 장소 : 신고리5,6호기 건설 공론화위원회(광화문 동화면세점)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목회자 선언문' 보기 2017. 9. 23.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의 불공정한 운영에 대한 시민행동 입장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의 불공정한 운영에 대한 시민행동 입장 수 십 년간 지속되어온 원전확대 위주 정책의 결과,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논의는 공정하고 균형 있게 진행되기는 쉽지 않은 조건이었습니다. 더구나 원전 학회, 산업계는 물론이고, 정부 기관들과 정치권 및 언론 등의 일방적인 활동은 공론화를 심각하게 왜곡시키고 말았습니다. 이에 은 공론화위원회에 몇 차례 공문을 발송해 ‘한수원의 물품 살포 등 불법 활동 중단, 정부 출연 기관 인사들의 부적절한 활동 중단, 정치권과 언론 등의 왜곡 주장 중단’ 등을 위한 조치를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공론화위원회는 ‘관계 기관에 공문을 발송했다거나 건설 재개측과 협의하라’는 발뺌으로 일관하면서, 공론화 과정에 대한 공정한 관리 의지와 능력 부족을 보여 주었습니다.. 2017. 9. 22.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위한 한국교회 목회자 선언에 동참해주십시오."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위한 한국교회 목회자 선언에 동참해주십시오." 한국YMCA전국연맹이 함께 참여하고 있는 '핵없는세상을위한 한국그리스도인연대'에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촉구하는 목회자선언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많은 참여와 안내를 부탁드립니다. ---------------------- 현재 신고리 5,6호기 건설에 대한 공론화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하지만 핵산업계와 보수 언론의 여론 조작으로 신고리 5,6호기 건설중단의 찬반이 팽팽한 상황입니다. 이에 신고리5,6호기 백지화에 대한 목회자들의 입장을 밝힘으로 '핵과 신앙이 양립할 수 없다'는 한국교회의 입장을 밝히고자 합니다. 탈핵에 마중물이 될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목회자 선언'에 서명으로 동참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는 오늘 하늘과.. 2017. 9. 14. [성명서]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이렇게는 곤란하다. [성명서]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이렇게는 곤란하다 공론화의 목적은 사회적 논의를 통해 수용성 높은 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성공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의 하나는 ‘이해당사자들의 주장을 정확히 확인하고, 이들이 수긍할 수 있는 공정한 절차를 통해 합리적 결론에 도달하는 것’이다.하지만 공론화위원회의 찬반이해당사자와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의제, 일정, 결정 방식 등을 발표하고 있으며, 지금껏 단 한 차례 면담조차 받아주지 않았다.정제되지 않은 발표를 반복하고, 발표한 계획을 빈번히 번복하면서 신뢰를 떨어뜨리는 것도 납득하기 어렵다. 공론화위원회가 협상창구로 지정한 찬반 이해당사자들의 대표성도 문제다. 신고리 백지화 시민행동은 900여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어,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주장.. 2017. 8. 7.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와 중단 결정은 적법한 절차, 제대로 된 공론화 절차를 통해 참여와 민주주의 진전 기대(갈등학회 토론문) 신고리 3·4호기 옆에 5·6호기 건설 현장의 타워크레인이 보이고 있다.(사진 출처 오마이뉴스) [보도자료] 갈등학회 공론화 토론회 토론문 소개신고리 5,6호기 공론화와 중단 결정은 적법한 절차제대로 된 공론화 절차를 통해 참여와 민주주의 진전 기대 안전한세상을 위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시민행동은 어제(1일) 갈등학회가 주최한 ‘사회적 수용성을 갖는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에 토론자로 참석한 녹색법률센터 신지형 변호사와 가톨릭대 이영희 교수의 토론문을 공유한다. ○ 신지형 변호사는 정부의 신고리 원전 공론화 결정 과정, 한수원에 대한 신고리 원전 공사 일시 중단 협조 요청, 공론화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공론화 이후 그 결과에 따른 정책결정의 적법성을 평가해 발표했다. 대통령.. 2017. 8. 2.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