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36

기독교시오니즘 7. 반유대주의란 무엇입니까? 신학적 질문 1. 반유대주의란 무엇입니까? ​ 반유대주의에 맞서는 싸움은 전통적으로 유대인에 대한 편협함과 차별에 맞서 싸우는 것이었지만, 이제 반유대주의 혐의는 이스라엘의 기독교인과 무슬림 아랍 시민, 그리고 이스라엘의 군사 점령 하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차별적 정책을 비판하는 사람들에게 덧씌워지고 있습니다. 반유대주의는 유대인에 대한 적대감, 편견, 차별입니다. 사람들이 다른 사람이나 심지어 국가를 싫어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반유대주의의 경우, 이는 거주지나 활동에 관계없이 특정 민족에 대한 깊은 혐오감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견해는 종종 차별, 적대감, 그리고 궁극적으로 유대인 박해로 이어지는 반유대주의 행동으로 이어집니다. 서구 세계는 반유대주의에 익숙합니다. 유럽 역사를 통틀어, .. 2023. 11. 19.
기독교시오니즘 6. 성전을 재건해야 하는가? 성경적 질문 5. 성전을 재건해야 하는가? 일부 광신적이고 노골적인 시오니스트들은 바위 돔과 하람 알 샤리프(신성한 성소)에 있는 알 아크사 모스크의 파괴를 요구합니다. ‘The Temple Mount Faithful’이라고 불리는 유대인 그룹은 그 자리에 세 번째 성전의 기초를 놓기 위해 자금과 재료를 모으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협과 계획은 전 세계 무슬림, 특히 팔레스타인의 무슬림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수백만 명의 기독교인들은 이 세 번째 성전 건축을 ​​지지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그들은 그리스도의 재림과 관련된 기독교의 종말론적 기대가 성취될 수 있도록 이스라엘 국가의 편에 설 것을 요구하는 성지 신학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 경전은 성전에 관해 무엇이라고 말하는가? 하나님은 히브리 민족에게.. 2023. 11. 19.
기독교시오니즘 5. 예루살렘은 유대 민족의 배타적이고 분할되지 않은 영원한 수도인가? 성경적 질문 4. 예루살렘은 유대 민족의 배타적이고 분할되지 않은 영원한 수도인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고 미국 대사관을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옮기기로 한 결정은 예루살렘이 모든 사람을 위한 공유 도시라는 꿈을 단번에 무너뜨렸다. 유대교와 기독교시온주의자들은 예루살렘을 유대 국가의 배타적이고 분할되지 않은 영원한 수도로 간주하며, 팔레스타인의 합병, 분리, 인종 청소를 지지해 왔다. 1967년 이스라엘이 예루살렘을 점령한 아랍-이스라엘 전쟁 이후, 1971년 6월 32개국에서 온 1,200명 이상의 복음주의 지도자들이 예루살렘에서 회의를 개최했다. 다비드 벤구리온(David Ben Gurion)이 환영한 이 회의는 “서기 59년 이후 최초의 회의”로 평가되었다.. 2023. 11. 19.
기독교시오니즘 4.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축복하는 자에게 복을 주시고, 이스라엘을 저주하는 자에게 저주를 내리시는가? 성경적 질문 3.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축복하는 자에게 복을 주시고, 이스라엘을 저주하는 자에게 저주를 내리시는가? 하나님께서 유대 민족과 이스라엘 국가를 대하는 방식에 따라 사람, 조직, 국가를 축복하거나 저주하신다는 대중적인 가정은 창세기 12장 3절에 대한 오해에서 근거한 것이다. 내가 너로 큰 민족이 되게 하고, 너에게 복을 주어서, 네가 크게 이름을 떨치게 하겠다. 너는 복의 근원이 될 것이다. 너를 축복하는 사람에게는 내가 복을 베풀고, 너를 저주하는 사람에게는 내가 저주를 내릴 것이다. 땅에 사는 모든 민족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받을 것이다.(창 12:2-3) 예루살렘 주재 국제기독교대사관(ICEJ, International Christian Embassy Jerusalem)은 아브라함에게 주.. 2023. 11. 19.
기독교시오니즘 3. 오늘날 하나님의 “택하신 백성(선민選民)”은 누구인가? 성경적 질문 2. 오늘날 하나님의 “택하신 백성(선민選民)”은 누구인가? 많은 기독교인들은 유대인들이 하나님의 “선택된 백성”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나 히브리어 성경과 기독교 성경은 모두 하나님의 백성이 조상이 아니라 믿음으로 식별된다고 주장한다. □ 구약에서는 창세기에서는 하나님께서 아브라함, 이삭, 야곱에게 주신 약속은 결코 그들의 후손에게만 국한되지 않고 다른 많은 종족의 사람들도 포함했다. 예를 들어, 시편 87편에서는 이집트인(라합), 이라크인(바빌론), 팔레스타인인(블레스타인), 레바논인(티레), 아프리카인(구스) 등 많은 민족이 그들의 신앙을 바탕으로 이스라엘 사람들과 동일한 지위를 공유하고 있음을 단언한다.: 내가 라합과 바빌로니아를 나를 아는 나라로 셈하겠다. 블레셋과 두로와 에티오피아도 .. 2023. 11. 19.
기독교시오니즘 2. 성지의 주인은 누구인가? 성경적 질문 1. 성지의 주인은 누구인가? “창세기에서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하신 약속은 그들의 후손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다른 많은 종족의 사람들에게도 적용되었습니다.” 한때 가나안, 이스라엘, 유다, 블레셋, 팔레스타인 등의 이름으로 알려졌던 성지라고 불리는 이 지역은 지난 3000년 동안 대부분 군사 점령을 당했다. 외부 점령자들 중에는 아시리아인(기원전 8~7세기), 바빌로니아인(기원전 6세기), 그리스인(알렉산더 대왕과 그 후계자, 기원전 4~1세기), 로마인(기원전 1세기~서기 7세기), 오스만 제국(AD 16~20세기), 영국(1917~1948)이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 팔레스타인은 (수세기 동안 오스만 제국에 의해 통치되어 왔던) 영국의 일부가 되었고 영.. 2023. 11. 19.
기독교시오니즘 1. 기독교시오니즘이란 무엇인가? 기독교시오니즘이란 무엇인가? 기독교시온주의는 신학과 정치를 융합하여 세속적인 이스라엘 국가가 성서적 예언을 성취한 것이라고 가르친다. 기독교시온주의는 이러한 성서적 예언의 성취가 1800년대 유럽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하기 시작하면서 시작되어 1948년 이스라엘이 하나의 국가가 되면서 지속되었다고 믿고 있다. 기독교시온주의자들은 현대 이스라엘이 성서적 이스라엘의 연속이므로 특별한 특권을 누려야 한다고 믿고 있으며, 이스라엘 국가와 그 정책을 지지하는 것이 기독교인들의 책임이라고 선언합니다. □ 시작: 19세기 “성서의 선지자들은 우리에게 정의를 확립하라고 경고하지만, 성지의 팔레스타인인들은 큰 불의를 겪고 있다. 이것은 많은 그리스도인들의 마음속에 깊은 상처를 입혔다.” 1820년대와 1830년대.. 2023. 11. 19.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진실이 중요합니까? 학살을 정당화하는 거짓과 반유대주의 진실이 중요합니까? 2023년 11월 11일 ​ Mazin Qumsiyeh, 팔레스타인 베들레헴 대학 교수 마진 쿰시예 교수는 베들레헴 대학(BU)에서 교수와 연구를 하고 있으며, BU의 세포유전학 실험실과 팔레스타인 자연사 박물관 및 점령 팔레스타인의 생물다양성과 지속가능성 연구소를 지휘하고 있으며, Birzeit 대학과 Al-Quds 대학에서도 강의하고 있다. "가나안 땅의 공유: 인권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투쟁", "팔레스타인의 민중 저항: 희망과 권한 부여의 역사", "성지의 포유류", 그리고 "이집트 박쥐"의 저자. 그는 이전에 아이다 난민 캠프에서 베이트 사워와 알-로와드 문화 및 연극 사회 사이의 화해를 위한 팔레스타인 센터의 이사회에서 일했다. 이스라엘 정부는 10월 7일 (하마스의) 공격.. 2023. 11. 19.
우리는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고통에만 집중하도록 속고 있는 걸까요? 우리는 가자지구의 고통에만 집중하도록 속고 있는 걸까요? Are we being duped to focus only on Gaza suffering? 2023년 11월 12일​​ ​ Mazin Qumsiyeh, 팔레스타인 베들레헴 대학 교수 마진 쿰시예 교수는 베들레헴 대학(BU)에서 교수와 연구를 하고 있으며, BU의 세포유전학 실험실과 팔레스타인 자연사 박물관 및 점령 팔레스타인의 생물다양성과 지속가능성 연구소를 지휘하고 있으며, Birzeit 대학과 Al-Quds 대학에서도 강의하고 있다. "가나안 땅의 공유: 인권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투쟁", "팔레스타인의 민중 저항: 희망과 권한 부여의 역사", "성지의 포유류", 그리고 "이집트 박쥐"의 저자. 그는 이전에 아이다 난민 캠프에서 베이트 사워와.. 2023. 11. 19.
(영상) 안녕 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에 평화를! https://youtu.be/ojDX6evYEpQ?si=T6syzBC59gvp9bUZ 팔레스타인의 소식을 들을 때면, 노래를 부르는 아이들의 목소리가 떠오른다. 이 목소리에 메시지를 담아보고 싶어 그냥 만든 영상. 서구 언론의 앵글만 쫓아다니기 바쁜 주류 언론과 전문가들의 시각에서 벗어나 단순하지만, 이제는 명확히 누구나 깨달아가고 있는 사실들을 짧은 노래 (85초)에 담아 나눠봤으면 하는 마음도 ... 혹 만드시면 알려주세요. * 곡 정보 제목 : 안녕 팔레스타인 2014년 한국YMCA전국연맹 100주년 기념으로 제작한 노래(작사/작곡 김현성), "안녕, 팔레스타인'. 광명YMCA 볍씨학교 학생들(박재현, 정준호, 신국호, 최이은, 김보민, 이조율, 신채은, 최연재, 이제원, 정한결, 김수현, 이서연.. 2023. 11. 19.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피해자 증언은 10월 7일, 이스라엘의 이야기에 큰 타격을 입혔다. 이스라엘 피해자 증언은 10월 7일, 이스라엘의 이야기에 큰 타격을 입혔다. - 주민과 군대 사이에 핫라인을 구축한 Kibbutz Be'eri의 보안 코디네이터인 Tuval Escapa에 따르면 이스라엘 사령관들은 인질과 함께 테러리스트들을 제거하기 위해 거주자들에게 포격을 가하는 등 "어려운 결정"을 내렸다. - 더 많은 증거는 노바(Nova) 음악 축제에 대한 하마스의 공격에서 탈출한 후 거의 살해당할 뻔했다고 증언한 목격자 다니엘 라치엘(Danielle Rachiel)에게서 나옵니다. 그녀가 안전한 곳으로 차를 몰고 가는 동안, 이스라엘 보안군은 그녀가 자신이 이스라엘 사람임을 밝히기 위해 히브리어로 소리칠 때까지 그녀의 차량에 직접 총격을 가했습니다. - 이스라엘 언론 매체인 예 디오스 아하라노스.. 2023. 11. 10.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막 떠난 간호사와의 인터뷰 - 하마스를 수용하고 있다는 시온주의자들의 거짓말 때문에 모든 가자지구 병원(안과병원, 암병원, 소아과병원 등)에 대한 폭격이 정당한 수단이라면: a) 병원장들이 요청한 대로 이스라엘의 주장을 독립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또한 파괴된 수만 채의 주거용 아파트에 대해서도), b) 거짓말이 사실이라 할지라도, 그 병원들을 포함한 250만 명에게 의약품, 전기, 음식, 물 공급을 중단하고 있는 것을 어떻게 설명합니까? https://www.youtube.com/watch?v=gk7iWgCk14U 2023.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