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큐메니컬146

팔레스타인과 함께하는 평화교회 참여 캠페인 팔레스타인과 함께하는 평화교회 참여 캠페인 팔레스타인과 함께하는 평화교회는 평화를 위한 기도운동이며, 한국 교회 갱신운동이며, 한반도와 아시아의 평화를 위한 운동입니다. 1. 근본주의적이고 패권적인 한국 개신교 신학에 대한 성찰운동이며, 평화의 담지자인 약자의 눈으로 성서를 다시 읽는 운동입니다. 2. 일제 식민지와 독재를 경험했던 한국 교회의 출애굽 해방신앙 전통을 회복하고자하는 교회갱신운동이자 기도운동입니다. 3. 평화를 위협당하고 있는 동북아시아와 서아시아 평화를 위한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의 연대이며, 민간중심의 네트워크 운동입니다. 팔레스타인과 함께하는 평화교회는 이를 위해 1. 평화를 위해 함께 기도합니다.2. 평화를 위해 함께 일합니다.3. 평화를 위해 후원합니다.4. 평화의 삶을 함께 나눕니다.. 2013. 2. 11.
2011 팔레스타인의 현실과 '카이로스 팔레스타인 선언'의 의미 2011 팔레스타인의 현실과 '카이로스 팔레스타인 선언'의 의미 페이튼 후사리 (Faten Husari) / 팔레스타인 평화활동가, 2011년 한국방문 "우리들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매일 아침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마다 전 세계를 향해서 ‘삶’을 외친다.” - 라페프 지아데 1. 인구 분포: 2011년 현재 웨스트 뱅크와 가자 지구에 살고 있는 팔레스타인 인구는 모두 416만 명이다. 그 중 웨스트 뱅크에 258만 명이 살고 있고, 가자 지구에 158만 명이 살고 있다. 연평균 인구 성장율은 2.6%이며, 2015년에는 510명으로 증가할 것이 예상된다. 가자 지구의 인구밀도는 평방 km 당 3,881명이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밀도가 높다. 2. 난민의 분포:지 역난민의 수비 율요 르 단1,999,4664.. 2013. 2. 1.
“팔레스타인 평화 한국 그리스도인 네트워크” 참여를 제안드립니다. “팔레스타인 평화 한국 그리스도인 네트워크” 참여를 제안드립니다. 한국 그리스도인들은 이스라엘에 의한 불법적인 팔레스타인 점령과 가자 봉쇄, 그리고 2009년과 2012년의 연이은 가자 공습에 대해 반대하며 이는 그리스도의 평화를 파괴하는 죄임을 선언하는 한국 그리스도인 평화선언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2012. 11. 29. 선언문 참고). 이 선언에 참여했던 단체들을 중심으로 지난 12월 13일과 1월 8일 회의를 갖고 팔레스타인의 문제는 한반도의 문제와 다르지 않음을 확인하며, 보다 많은 단체들이 지속적으로 함께할 수 있는 “팔레스타인 평화 한국 그리스도인 네트워크”구성을 제안드리기로 하였습니다. 팔레스타인과 한반도의 평화, 한국 기독교의 변화를 위한 노력에 함께 참여해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 붙.. 2013. 1. 31.
팔레스타인 - 이스라엘 평화를 위한 한국 그리스도인 선언 - 팔레스타인은 우리의 적이 아니라 형제입니다 ! 세계 팔레스타인 연대의 날, 팔레스타인 - 이스라엘 평화를 위한 한국 그리스도인 선언 팔레스타인은 우리의 적이 아니라 형제입니다 ! ‘하늘에는 영광 땅에는 평화’를 기도해온 한국 기독교는 지난 11월 18일~20일까지 열린 제61회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총회 결의에 따라 지난 11월 14일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침공에 대한 우려와 반대를 표명하는 성명서를 11월 20일자로 발표한 바 있습니다. 한국 그리스도인들은 ‘세계 팔레스타인 연대의 날’을 맞아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과 가자지구 봉쇄는 그리스도의 평화를 파괴하는 죄임을 선언하며 다음과 같이 우리의 입장을 밝힙니다. 1. 이스마엘의 후예라고 하는 아랍인들은 기독교인의 적이 아니라 형제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마엘에게도 복을 주어 크게 생육하.. 2013. 1. 31.
"제 10차 W.C.C. 총회 준비와 관련된 1. 13 공동선언문"에 대한 각 단체 입장 "제 10차 W.C.C. 총회 준비와 관련된 1. 13 공동선언문" 에 대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양성평등위원회, 성공회대, 한신대, 감신대, 한국기독교장로회 생명선교연대, 에큐메니칼 기독여성들의 입장문입니다. 성공회대와 한신대가 입장 정리를 명료하게 잘한 것 같습니다. 1.13 공동선언문에 등장하는 4가지 주제에 대한 에큐메니컬운동의 입장이 분명해야 하며, 이 선언문의 폐기는 물론 이에 대한 책임도 분명해야 합니다. 누구도 책임지지 않고 시간이 흘러 사태가 진정되기만을 기다린다면, 이것은 에큐메니컬운동의 위기가 아니라 소리없이 침몰해가는 난파선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 2013. 1. 31.
왜, 한국 그리스도인들은 팔레스타인에 관심해야 하는가? - 고난의 땅, 팔레스타인은 한반도다. 왜, 한국 그리스도인들은 팔레스타인에 관심해야 하는가?- 고난의 땅, 팔레스타인은 한반도다. 이 윤 희 / 한국YMCA전국연맹 생명평화센터 사무국장 ‘에큐메니컬운동의 미래를 담지하는 운동’한국 에큐메니컬운동은 삶에 지치고 어려운 이웃들의 그늘막이었고 한국 사회 민주주의와 인권의 보루였다. 그러나 이제 한국 개신교는 많은 사람들로부터 개독교라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교회를 출석하는 교인 수가 확연히 줄어들고 젊은이와 청년들이 떠나고 있다. 자신들의 이득만을 추구하는 게토(Ghetto)가 되었고 정치세력화 되었다는 우려를 듣고 있다. 더구나 2013년 WCC 부산총회를 앞두고 한국 에큐메니컬운동이 지금 몹시 혼란스럽다. ‘한국 에큐메니컬운동의 비전과 미래는 무엇인가?’, 이제 이에 대해 누군가 성실히 응답.. 2013. 1. 31.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모금 캠페인 및 후원 콘서트 "come & see" . 1월 22일, 서울YWCA 4층 강당에서 있었던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후원 모금 콘서트 "come & see" . 작은 시작이지만, 팔레스타인 평화를 위한 평화의 마음을 모으고 연결하는 시작의 마당이었습니다. 앞으로도 대화모임, 이야기와 노래와 시가 있는 작은공연 등을 지역에서 대학에서 교회에서 단체모임에서 만들어가려고 합니다. 이런 평화의 마음들이 연결돼 팔레스타인과 한반도에 평화가 함께하는데 작은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합니다. 함께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성함과 소개 글을 알려주시면 같이 표기하도록 하겠습니다. * 후원금 기부 영수증이 필요하신 분은 c-forum@hanmail.net으로 주소와 연락처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245. 화해와 일치교회(강정모목사) 754,390원 (1/23) 244.. 2013. 1. 26.
에큐운동이 있기는 한 것일까? 에큐운동이 있기는 한 것일까? 어찌해야할까? 그동안 신념을 갖고 그나마 작은 노력이나마 보태 어찌 해보려 했던 것이 정말 꿈이고 쓸데없는 노릇일까? 새로운 기운은 보이지 않고 다 말라가는 대지의 생명수를 어디서 찾아야할까? 힘을 보태고 모아 지혜를 찾고자 했던 노력들이 수렁에 빠진 것 같다. 길이 잘 안보인다. 오재식 선생님의 회고록인 현장을 기도하는 마음으로 다시 보지만 후배들이 오선배를 보내며 운동과 정신까지 묻어버린 것 같다. 일요일의 쿠테타와 같은 사건에 나는 무엇이라 할 것인가? 해프닝으로 잠잠해지기를 기도할까? 참 어두운 밤이다. 2013. 1. 14 2013. 1. 26.
팔레스타인 평화주간(5월 28일~6월 3일) 에큐 설교 - 글로벌 그리스도인 공동체 : 산 넘어 바다 건너(서광선 박사) 한국YMCA전국연맹 생명평화센터는 팔레스타인 평화주간(5월 28일~6월 3일)을 맞아 팔레스타인 Faten의 한국 방문과 팔레스타인과 남북한 평화를 위한 한국 세미나(5월 29일)를 개최하였고 2013년 WCC 총회지인 부산을 찾아 팔레스타인의 평화이슈에 대해 협의하고 한국분단의 현실을 조금이라도 이해하기 위해 철원 DMZ을 방문하기도 하였습니다.한국 세미나에 참여하셨던 서광선 박사님(세계YMCA연맹 전 회장, 현 한국YMCA전국연맹 목적과사업위원회 위원장)께서 팔레스타인 평화주간 예배를 위한 설교문을 보내오셨습니다. 6월 3일이 교회환경주간이기도 해 생태예배를 드릴 것을 제안드린 바 있어, 팔레스타인 평화주간 예배는 교회에 따라 6월 10일 드리기도 할 것 같습니다. 이전에 자료로 안내드린 영상 등을 .. 2012. 6. 2.
팔레스타인 평화주간 한국 세미나 및 기도회, Faten 방문 관련 자료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팔레스타인 평화주간(5월 28일~6월 3일)에 있었던 FATEN과의 세미나 및 지역 방문 일정을 잘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바쁜 일정에도 불구하고 세미나를 함께 준비해주시고, 발표자로 참여해주시고, FATEN을 초청, 환대해주시고, 통역과 번역 등으로 수고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FATEN은 5월 25일 한국을 방문하여 한국YMCA전국연맹 초청 대화모임, 부산NCC 및 에큐메니컬 지도자 초청 대화모임과 평화교회(임대식목사) 주일 예배 참석, YWCA연합회 초청 대화모임, 세미나 및 기도회 참석, 철원 DMZ 방문 등의 일정을 마치고 31일 무사히 귀국하였습니다. 이번 세미나 및 기도회, 지역 방문 등에 관한 관련 자료들을 나눕니다. 1. Faten 주제발표 ppt 번역자.. 2012.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