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윤희616

팔레스타인 협동조합, 올리브나무 수공예품 생산 공장, 목자들의 벌판, 와인생산지 등 팔레스타인 협동조합, 올리브나무 수공예품 공장, 목자들의 벌판(Shepherd field), ATG, 와인 생산지와 공장, 한국문화센터 등.. 팔레스타인 Beit sahour 내에 있는 팔레스타인 협동조합 사무실. 일제하 나라잃은 우리 나라 국민들이 그랬듯 하루 하루를 살아가야 하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일상과 호흡을 느낄 수 있는 공간 중 하나인 것 같다. 올리브나무를 활용한 수공예품 생산과 판매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일상의 삶을 위해 쉽게 할 수 있는 일감 중 하나. 그들이 모여 만든 협동조합.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현지 판매와 유럽이 주 시장. 하늘 아래 감옥에서 살아가고 있는 이들에게 희망이란 무엇일까? 쉽게 물어 볼 수 없는 말이기에 일제 강점기와 내란을 겪은 한국의 역사를 생각해보며 우리 역사가.. 2016. 10. 14.
With famliy house members in Beit Sahour, Palestine 2016. 10. 13.
시민은 투표만 하는 기계가 아니다. 시민사회 공동의 윤리와 질서를 만들어가는 주체이다. "신성한 책임과 의무이자 권리" 이젠 권력자들부터 소위 전문가라는 사람들의 전횡과 독단이 곧 신성한 책임과 의무이자 권리인 시절이 되었군요. 국민은 이들에 의해 평화와 민주주의가 사라져도, 양심과 사상의 자유가 말살돼도,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노동의 공정한 기회가 사라져 개돼지로 살아갈 수 밖에 없다해도 이들에게 아무런 저항을 할 수 없는 철저히 지배집단의 탐욕이 관철되는 사회의 슬픈 자화상입니다. 한국 시민사회의 공동의 상식으로서 시민윤리와 의식이 사회의 질서와 권리를 만들어가는데 아무런 역할도 못하는 사회에서 법과 질서만을 말하는 것은 곧 국가권력의 부당한 폭력과 지배를 인정하자는 말이고 아무런 저항도 하지 못한채 선거만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대통령이되면 무엇인가 바꿀 수 있으리라는 환상.. 2016. 10. 12.
Sacred Heart Retreat House & Seminar Center-시민사회? 국제협력? 필리핀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 단체들의 한국인과 필리핀 멤버들의 역량강화 교육이 지난 5일부터 8일까지 3박4일 동안 있었습니다. 필리핀에는 24개 정도의 한국인 단체들이 국제개발이라는 이름으로활동하고 있고, KCOC와 기업 펀드를 활용하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어려운 환경에서 수고하기를 멈추지 않는 분들의 아름다움을 배우고 그 향기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또한 Quezon city에 있는 'Sacred Heart Retreat House & Seminar Center' 수도원을 볼 수 있어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팬들힐 같은 공간이 필리핀에는 어떻게 만들어져 운영되고 있을까라는 궁금증을 갖고 필리핀의 작은 버스(?)인 van을 처음 타고 찾아간 길이었습니다. 가장 맘에 들었던 공간은 우람한 나.. 2016. 10. 9.
전쟁도 핵발전소도 용납되어서는 안된다. "한미합동군사연습의 유보를 고려하거나, 북한에게 그들이 오랫동안 추구했던 불가침 조약을 해주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 미 대선을 앞두고 대북한 정책에 대한 미국의 몇몇 연구소의 보고서가 나오고 있다. 당장의 핵폐기가 아닌 핵동결을 위해 중국을 통한 간접적 방식이 아닌 북한과의 직접적인 대화가 요청되며 필요하다면 한미연합 군사훈련을 유보하고 평화조약 체결의 필요성을 언급하는 내용들이다. 이제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장난감처럼 평화를 다루며 망치는데 골몰하는 사람들이 주장하듯 북한 붕괴와 전쟁의 시나리오와는 분명 다른 접근 방식이다. 평화는 전쟁과 갈등을 극복한 결과일뿐 아니라 이에 도달하는 과정이자 방법이다. 따라서 항상 갈등과 위기를 엄중히 그리고 인내심을 갖고 조심히 다룰 줄 알아야 한다. 대책없는 말장.. 2016. 10. 3.
GATN(Global Alternative Tourism Network, APAY, Bali, 9.27~30. 2016) 발리에서 GATN(Global Alternative Tourism Network, APAY, Bali, 9.27~30. 2016) 일정을 마치고 비행기 일정 땜시 생긴 공백을 UBUD와 힌두사원 탐방으로 알뜰하게 챙기고 아침 8시 비행기를 타기 위해 발리공항에서 아침식사 대신 카푸치노 한잔. 잘 안마시는데 오늘 웬지 이것이 눈에 들어와 주문. GATN에서 APAY가 '사회개발회의'(1975년 치앙마이)에서 채택했던 '정의'와 '참여'의 원칙,그리고 1991년 서울에서 개최됐던 '환경에 관한 국제회의'에서 채택된 '창조질서보전'이라는 생태적 관점, 그리고 이러한 원칙을 포함해 젠더, 청소년, 빈곤, 여성 등등 YMCA 운동의 원칙을 천명하고 재확인했던 '도전21'의 역사적 맥락에서 투어리즘의 원칙이 재확인.. 2016. 10. 1.
타지에서 만난 친구 친구가 왔다 갔다. 공정무역을 하고 있는 친구다. 며칠 머물며 이런 저런 소식과 활동 계획도 나누고 돌아갔다. 바쁜 일정에 시간을 내 직접 방문해 일을 상의해 준 친구가 고맙다. 덕분에 여기서 활동하고 있는 친구들과도 함께하는 1박의 행운을 가졌다. 공항 가는 길에 있는 Mall of Asia에 들려 필리핀 마닐라만 낙조를 처음 볼 수 있는 우연찮은 기회도 가졌다. 그리고 함께 나눈 비빕밥과 강된장. 낙조가 주는 여유로움과 풍요로움을 가득 안고 필리핀에서 처음 맛본 강된장이 달콤했다. 배움을 나누며 열심히 살아가는 친구들이 고맙고 감사하다. 개인 페북 페이지에서.. 9. 6.https://www.facebook.com/yunheepage/?pnref=story 2016. 9. 9.
한반도의 분단과 함께 허물어져야 할 또 하나의 장벽, 함께 기도를 요청하고 있습니다. 한반도의 분단과 함께 허물어져야 할 또 하나의 장벽, 함께 기도를 요청하고 있습니다. World Week for Peace in Palestine Israel 18 - 24 September 2016 Dismantling Barriers, "God has broken down the dividing walls" "For he is our peace; in his flesh he has made both groups in to one and has broken down the dividing wall, that is, the hostility between us." (Ephesians 2:14) World Week For Peace resource materials - 2016 관련 문서, 사진, 영상, .. 2016. 9. 8.
피자집 앞의 대통령과 쥐구멍 요즘 이런 기사들을 종종 보게됩니다. 대통령이 퇴근 후 할인 음식을 사기 위해 시민들과 담소하며 대기 줄에 서 있거나 자동인출기를 이용하기 위해 기다리는 모습, 자전거로 출퇴근하며 아무런 특권없이 시민들보다 더 많은 시간을 일하는 국회의원 등등. 어떤 분들은 규모가 작은 나라라 가능하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한국보다 인구가 많고 인권탄압의 우려를 사고 있는 필리핀의 두테르테도 구내 식당에서 줄을 서서 기다리고 우리가 숭상해 마지 않는 미국의 오바마는 먹지도 않았던 샥스핀(상어지느러미) 파는 중국가게에서 식사를 했다는 이유만으로도 사과를 했어야 했습니다. 무슨 말만하면 '국기문란'이라며 비판을 봉쇄하기에 급급해하며 쥐구멍에 숨듯 나타나지 않는 이와 분명 구별되는 모습입니다. 헬조선을 말하는 국민들에게.. 2016. 8. 31.
Illusion Of Freedom Illusion Of Freedom 민주주의와 자유의 환상을 유포하는 한편, 끊임없이 악의 축을 개발함으로써(북한, 이란?, 테러?, ISIS?, 이슬람? 등) 적대적 갈등을 유발하고 이를 명분으로 반대를 범죄시하고 탄압하는 사회. 자신들의 사적 이익을 공적이익으로 둔갑시킨 채 자신들의 사적 이익만을 도모하며 정부 기구를 무력화시키고 권력놀음에 빠져 있는 도둑정치(Kleptocracy)의 사회. 심지어 자신들의 더러운 과거 세탁을 위해 역사 왜곡은 물론이고, 살아있는 역사조차 팔어먹는데 주저없는 자들이 후안무치하게 주저없이 그리고 끊임없이 자유와 민주,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말한다. 그들만을 위한 자유, 안정이라는 것을 감춘채. 미국은? The seizure of political and economic.. 2016. 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