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화516

제주4.3항쟁기념관에 있는 백비와 평화 제주4.3항쟁기념관에 있는 백비(아무 것도 쓰여있지 않은 비석). 무도하고 잔악했던 국가권력에 항거했던 민들의 정당한 저항이 아직도 인정받지 못하는 사회. 그래서 아무것도 쓰여 있지 못한채 비어있는 비석. 국가폭력에 의한 우리 현대사의 수난과 현재의 비극을 상징하는 것 같다. 공권력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국가 폭력에 대한 저항은 시민의 정당하고 당연한 권리라는 것이 아직도 낯설은 사회. 그것이 70년 전의 무자비했던 국가폭력이 시민의 저항권을 인정하지 않은채, 그 크고 작음을 떠나 지금도 자행되고 있는 현실을 목도하는 비극으로 이어지고 있다. 전쟁을 말하며 평화를 말하는 자들이 득세하고, 타국에 무력을 의지하며 안보라는 이름으로 시민들의 평화를 짓밟는 국가권력의 오만과 독선의 무서움과 잔인함은 한국사는.. 2017. 9. 8.
제주 알뜨르비행장 격납고 일제에 의해 만들어졌던 제주 알뜨르비행장 격납고. 중일전쟁의 전초기지였던 한반도의 운명은 그 주인만 바뀐채 지금도 제국의 최전선에서 촛불처럼 흔들리고 있다. 평화는 평화로만 이룰 수 있음을 몸으로 말해야 할 때인 것 같다. 2017. 9. 7.
제주 섯알오름에서 국가에 의해 배신과 죽임을 당한 민의 수난의 역사는 반복될 수 밖에 없는가? 휭한 마음처럼 텅빈 광장에 부는 바람이 아프기만 하다. 한국 시민사회가 국가기구에 대한 환상에서 벗어나 민에 의한 평화를 만들어갈 날을 기도해본다. #성주 #국가폭력 #제주43 2017. 9. 7.
사드배치철회 성주투쟁위 성명 사드배치철회 성주투쟁위 성명 오늘 성주주민들은 그렇게도 원하지 않던 일을 겪게 되었다. 박근혜 정부 하의 지난 4월 26일 사드레이더가 들어가더니 오늘 9월 7일 4기의 사드발사대가 반입되었다. 문재인 정부는 하루 전에 알려주어 주민들을 설득하겠다고 했다. 설득은 있었다. 경찰의 경고방송을 통해 흘러나오는 일방적인 강요가 설득이라면 그렇다. 국민들이 촛불을 통해 ‘소통’을 이야기 했을 때 그것은 일방적 소통을 이야기 한 것이 아니다. 지금 어쩌면 문재인 정부는 미국과의 소통이 중요했을 것이다. 미국과 소통하고 자국민과 불통하는 전 정부의 모습을 오늘 다시 발견하였다. 분명 소규모환경영향평가와 일반환경영향평가를 동일부지에서 하는 것은 불법이다. 오늘 문재인 정부는 불법을 통해 독재 권력의 초법적 ‘비상사태.. 2017. 9. 7.
한국YMCA통일운동협의회 4차 운영위원회 한국YMCA통일운동협의회 4차 운영위원회 사 회 : 김흥수 (운영위원장, 연맹 실행이사) ■ 일 시 : 2017년 9월 1일(금) 오후 3시-5시 ■ 장 소 : 대전YMCA 4층 회의실■ 목 적 : 하반기 사업 협의 건■ 순 서 1. 기도 2. 환영인사 : 김흥수 위원장 3. 참가자 인사 나눔 4. 전차 기획회의 보고 5. 사업보고 (6월-8월) 6. 지역별 현안 및 사업 공유 7. 안건 채택 8. 안건 협의 ① 평화대회 평가 및 후속활동의 건 ② 평화올림픽 캠페인 추진의 건 ③ 성주 현황 및 대응 건 ④ 한반도 저금통 배포 및 평화기금 모금사업의 건 ⑤ 정책협의회 건 ⑥ 기타 9. 정리 / 김흥수 위원장 10. 차기 회의 일정과 안건 협의 11. 마침 기도 2017. 8. 31.
Emergency Letter To President Moon Jae-In Urging Immediate Dialogue Emergency Letter To President Moon Jae-In Urging Immediate Dialogue August 10, 2017 Dear President Moon Jae In, May God’s peace be always with you Mr. President. Upon your inauguration, you have put great effort in supporting the socially marginalized groups and also in ridding the society of its malpractices. We sincerely appreciate your hard work in realizing the desires of the candle light re.. 2017. 8. 13.
평화협정 체결을 위한 2017 Korea Peace Day 자료집과 영상, 사진자료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평화협정 체결 촉구를 한국YMCA 평화대회가 한국YMCA 평화통일운동협의회가 주관하여 2017년 7월 28일(금) ~ 29일(토)까지 철원 DMZ 평화문화광장 컨퍼런스홀, 청소년문화복지센터, 소이산 그리고 DMZ 등에서 개최되었습니다. 2013년 평화협정 체결을 위한 국제 캠페인으로 처음 시작한 Korea Peace Day는 NCCK, EYC 등 에큐메니컬 관련 기관들과 함께 도모되었지만 올해는 여러가지 사정으로 YMCA 독자적으로 추진되게 되었습니다. 향후 본래의 취지대로 평화협정 국제캠페인으로 보다 많은 분들과 함께하는 Korea Peace Day 행사로 발전해 가리라 소망해봅니다. 자료집과 관련 영상, 사진자료를 올려봅니다. 정전협정 64년, 한국YMCA 소이산(DMZ) 평화.. 2017. 8. 2.
전국에서 평화를 기도하는 한국YMCA. 한국YMCA는 정전협정 폐기, 평화협정체결을 원합니다. 전국에서 평화를 기도하는 한국YMCA 한국YMCA는 정전협정 폐기, 평화협정체결을 원합니다. 2017. 7. 27.
제7차 한중일YMCA 평화포럼 1차 준비위원회 격년마다 한중일YMCA가 개최하는 한중일YMCA 평화포럼이 올해 12월 16일부터 20일까지 4박 5일동안 광주에서 개최됩니다. 제 7회를 맞이하고 있는 이번 한중일평화포럼은 청년들의 참여와 평화순례를 중심으로 추진하기로 결정했던 5회 이후 포럼의 연장선상에서 기획되고 있습니다. 광주에서의 포럼은 인권과 민주주의 그리고 동아시아의 평화에 대한 주제가 핵심이 될 예정이며, 지난 6회까지의 포럼에 대한 성찰과 평가를 기초로 실질적인 평화협력 운동의 추진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에 대해 협의할 예정입니다. 또한 평화를 위한 청년리더십 육성 프로그램으로서 포럼의 실질적 가능성과 다른 대안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협의할 예정입니다. 광주Y와 연맹의 협의로 이달에 준비위원회를 구성하였고(준비위원장 황진 연맹 이사장, 이.. 2017. 7. 26.
정전협정 64년, 한국YMCA 소이산(DMZ) 평화선언 - ‘생명의 하나님, 우리를 정의와 평화로 이끄소서!’ - 평화협정 체결 촉구 한국YMCA 선언, 휴전에서 평화로! 정전협정 64년, 한국YMCA 소이산(DMZ) 평화선언 ‘생명의 하나님, 우리를 정의와 평화로 이끄소서!’- 평화협정 체결 촉구 한국YMCA 선언, 휴전에서 평화로! 한국기독교청년회(YMCA)는 전국연맹 출범 100주년을 맞은 지난 2014년, ‘한반도 평화통일과 동북아시아와 지구촌의 정의로운 평화’를 새로운 100년의 비전으로 세웠다. 그리고 냉전과 분단의 포로가 된 한반도를 영구평화지대로 해방하여 동아시아에서 항구적인 상생과 공영의 질서를 세우는 비전, 온 세계가 핵무기와 핵 발전의 위협에서 벗어난 정의의 참 평화 세상을 만드는 일이 한국YMCA의 새로운 100년의 비전임을 선포하였다. 이것은 한국YMCA 선배들의 민족독립의 꿈이 단지 식민지 지배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나라다운 나라를 이루려는 것.. 2017. 7.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