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516 정전협정 64년, 평화체제 구축과 평화협정 체결 촉구를 위한 한국YMCA 전국 동시 기자회견 - 평화협정 체결과 자유로운 민간교류를 위해 조건 없는 남북한 대화에 나서야 한다. 정전협정 64년, 평화체제 구축과 평화협정 체결 촉구를 위한 한국YMCA 전국 동시 기자회견 평화협정 체결과 자유로운 민간교류를 위해 조건 없는 남북한 대화에 나서야 한다. 구한말 이래 한반도는 지정학적 국제정치 패권질서에 의해 한국 民의 의사와 상관없이 식민지과 내전을 경험해 왔고, 지금도 1953년 정전협정 이래 64년이라는 부끄러운 분단의 역사와 아픔을 치유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200만 명 이상이 죽음을 당하고 1천만 명 이상의 이산가족을 낳았던 한국전쟁의 아픔은 지금도 한국 사회를 이념 갈등의 소용돌이로 몰아넣고 있고, 사상과 양심의 자유를 옥죄고 있다. 더구나 지구화 시대를 열어가야 할 한국 청년들은 155마일 철책선에 가로막힌 섬나라 시민으로 모든 창조적 발상의 근원인 다양한 사상과 정신사.. 2017. 7. 26. 한국YMCA 100주년 기념사업을 시작하며 : 출범 선언문-생명을 살리고 정의를 세우며 평화를 만드는 YMCA운동 한국YMCA 100주년 기념사업을 시작하며 : 출범 선언문 생명을 살리고 정의를 세우며 평화를 만드는 YMCA운동 - 한반도의 평화통일, 동북아시아와 지구촌의 정의로운 평화를 위한 새로운 비전으로 - 한국YMCA 100주년 기념사업은 비단 한국YMCA만의 축제가 아니라 한국 시민사회 100년을 성찰하고 자축하며 새로운 비전을 찾는 일이다. 한국YMCA는 일제 식민 지배로부터의 독립과 근대화를 위한 청년 지도력 육성, 신음하는 조선 민중들의 정신적 소생과 경제적 자립, 사회적 연대와 협동을 사명으로 만들어진 民의 자발적 결사체다. 한국YMCA는 민족 독립과 근대국가 수립을 열망하는 150여명의 청년들에 의해 창립 청원운동(1899년)이 일어났고, 중국과 미국, 영국 등 세계 각국의 에큐메니컬운동과 시민사회.. 2017. 7. 19. 팔레스타인으로 향한 시선, 한반도 평화를 위한 발걸음.-팔레스타인 사람들의 호소, Come, See and Act (원고) * 이 글은 '기독교사상' 2017년 5월호에 싣기 위해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호소, Come, See and Act'라는 제목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이 글에 관련 사진을 추가하여 게시했습니다. 팔레스타인으로 향한 시선목회자와 개교회 중심의 맘몬화된 한국 교회에 대한 소망을 상실하고 있을 때 만났던 예수의 땅 팔레스타인. 2천 년을 지속해온 그들의 신앙과 하나님의 평화를 궁금해 하며, 2008년부터 나는 새로운 신학적, 신앙적 계기를 찾아 팔레스타인을 본격적으로 만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팔레스타인은 미국과 이스라엘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국내외 교계, 특히 한국교회에는 아직도 금단의 사과와도 같은 영역이자, 악마화된 신앙적 대결 상대로 남아 있는지 모른다. 한국의 성지순례 객들은 성서의 이스라엘과 .. 2017. 4. 22. 평화담지체로서 YMCA 생명평화운동의 선교 미션- 제3기 한국YMCA 생명평화운동의 과제 Ⅵ장. 결 론 : 평화담지체로서 YMCA 생명평화운동의 선교 미션 지난 9년 동안의 연맹활동을 간사논문 형식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중심 없이 지내온 과정만큼 난삽하고 복잡하다. 그러나 한국YMCA운동사를 사회운동과 이념추구 운동의 양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선교 신학적 관점에서 ‘제3기 YMCA 생명평화운동론’을 정리하고자 하였으며, 평화담지체로서 YMCA운동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이념과 사회운동의 측면에서 제3기 생명평화운동을 다루고, 운동영역별로 과제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비록 주관적인 평가이고 제안들이지만, 에큐메니컬운동체로서 한국YMCA운동의 역사와 이념에 비추어 보고자 했다. 제1기, 2기 사회운동과 이념추구운동은 각 장에서 소결로 간략한 평가를 시도했으며, 3기 사회운동과 이념추구는 운동 영.. 2017. 4. 13. 팔레스타인-한반도 평화협력운동 : 한국 기독교 갱신에 대한 응답이자 책임 5. 팔레스타인-한반도 평화협력운동 : 한국 기독교 갱신에 대한 응답이자 책임. 1) YMCA 평화운동이 팔레스타인에 관심하는 이유 (1) 한국 기독교 갱신운동에 대한 관심 : 평화의 눈으로 읽는 성서 팔레스타인에 대한 관심은 첫째로, 한국 기독교 갱신운동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된다. 팔레스타인 문제는 단순히 어려운 지역에 대한 지지와 지원의 문제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맘몬화되고 패권적인 서구 근본주의 신학에 지배당하고 있는 한국 기독교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자 ‘한국 기독교 갱신의 방향과 과제를 어디서 찾을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YMCA의 응답이다. 지배와 점령의 정치적 시오니즘(‘약속의 땅’, ‘선택된 백성’, ‘여호수아’ 등)으로 팽배해 있는 한국 교회에 대한 개혁운동이다. 생명평화의 눈으로 .. 2017. 4. 13. 아시아 평화와 한반도 평화통일운동 : YMCA운동의 민족사적 응답이자 책임 3. 아시아 평화와 한반도 평화통일운동 : YMCA운동의 민족사적 응답이자 책임 1) 평화통일운동은 YMCA 평화운동의 제1 과제 한국YMCA는 이미 2013년 5월, ‘연맹 출범 100주년기념사업회 출범선언문’을 통해 설립초기 YMCA운동의 역사적 과제가 ‘민족의 독립’이었다면, 새로운 세기의 역사적 과제는 ‘민족의 평화통일과 지구촌 평화운동’이라 선언한 바 있다. 평화통일운동은 YMCA운동의 민족사적 응답이자 책임이라는 인식이다. 이 선언은 지난 2013년 1월 이후,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YMCA 평화통일운동의 방향과 과제를 찾기 위해 개최되었던 6차례에 걸친 집담회의 성과라고 평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YMCA는 2014년, 목적문 개정 작업을 통해 ‘민족의 통일운동’을 삽입하.. 2017. 4. 13. YMCA 생명평화운동의 시대 인식 4. YMCA 생명평화운동의 시대 인식 1) 생명질서인 평화는 파괴되고 있다. : 제국종교로서의 기독교, 새로운 영성운동 미국을 정점으로 하는 21세기 단극체제(單極體制, Mono-polar World)는 미국의 지구 제국적 지배(Dominion of Global Empire)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구제국체제는 지구시장체제, 지적 군사체제, 지구적 과학기술체제와 공생적 지배체제를 이루고 있다. 생명질서를 위협하고 있는 지구제국은 세계평화의 메시아로서 자임하고 있다. 이것은 최대의 역사적 모순이다. 이 평화 즉 Pax Americana는 예수의 평화가 아니다. 이 평화는 생명의 질서가 아니다. 이것은 죽임과 죽음의 세력에 의한 지배질서이다. 생명과 평화의 가치를 지킬 수 있는 세계종교들도 이미 지구화 과정.. 2017. 4. 13. From the holy cities of Jerusalem and Bethlehem we send to you our greetings and hope From the holy cities of Jerusalem and Bethlehem we send to you our greetings and hope These days, we commemorate the passion of Lord Jesus Christ, to celebrate the Resurrection in few days. We remember the pain and suffering of various nations and people around the world, and call for your prayers and actions to end the injustice and apartheid subjected on Palestinians, towards resurrection into.. 2017. 4. 12. 평화관련 신학서 공동학습과 번역에 관심 있는 분..... 같이 학습도 하고 함께 번역 출판도 해볼 생각입니다. 공동번역 이든 대표 번역 이든 공동학습 을 하면서 말입니다.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는 함께하고자 하는 분들과 상의하면서 하려고 합니다. 이 주제들이 한국 #에큐메니컬운동 과 #한국교회 의 변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시는 분들, 이 주제에 관심있는 분들은 연락주셔요.(댓글이나 메시지, 멜, 톡 등으로요). 함께 상의하며 효과적인 가능한 방법을 찾아보고자 합니다. 지혜와 조언, 도움도 부탁드립니다. 함께하시면 좋을 분들 추천도요.. #기독교참고 https://m.facebook.com/story.php… 2017. 4. 10. 성지 란 무엇일까요? 5시 30분에 일어나 이른 아침부터 예루살렘 구도시를 3시간 동안 걸었습니다. 아이들 학교 등교길을 지켜보기도 하고 아이들이 통학하는 모든 문들이 잘 열려있는지 골목길을 찾아다녀보기도 했습니다. 학교가 8시에 시작한다고 합니다. 다마스커스(Damascus) 게이트에서 시작한 골목길 투어이지만, 아직 모든 길이 똑같아 보입니다. 그것은 누군가 걸었을 역사의 숨결을 아직은 온전히 느끼지 못하고 지금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발자국과 숨결만을 쫒기에도 바쁘기 때문일 것입니다. 골목 골목 하나에 담긴 과거와 현재의 숨결들과 이야기들이 저에게 살아전해질 때 똑같아 보이는 골목길들이 저마다 다른 이름과 얼굴로 새겨지리라 생각됩니다. 과거에도 십자가를 메고 누군가 걸었고 지금도 수많은 이들이 걷고 있는 같은 길이지만 많은.. 2017. 4. 7.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52 다음